"게임"에 대한 개인적인 개념 정리

박희인
박희인 · Ludology
2024/01/23
수많은 표현이 으레 그렇듯, 게임이라는 말은 모호하다. 놀이학은 게임(을 포함하는 놀이 전반)을 하는 동기에 대해, 사람이 놀이하는 추동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반면, 여러 의사결정자가 각각 내리는 전략적 판단이 상호 작용하는 현상을 수학적 모형으로 예측하는 게임 이론은 의사결정자에게 부닥친 형식적인 상황을 다루며, 놀이학과 다르게 게임을 하는 추동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다. 당연하게도 이 “게임”과 저 “게임”은 다른 개념이다. 그러나 놀이로 존재하는 게임을 하는 동안, 게임 이론에서 말하는 게임, 의사 결정자가 행위를 결정했을 때 그 결과가 상호작용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게임”과 저 “게임” 사이의 접점이 생겨난다.

이뿐만이 아니다. 게임은 문화 속에서 계승되고 퍼진 어떠한 모티프를 행위성으로 담아내는 매체이기도 하다. 게임 매체의 참여자는 작품에서 제시하는 행위성을 경험하면서 디자이너가 넌지시 의도한 바를 향유한다. 게임 연구에서 악명 높은 Narratology 대 Ludology 논쟁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체의 후계자인 게임놀이 정체성을 지닌 게임 사이의 불협화음 때문에 벌어졌는데, 결국 게임 매체의 다양한 작품은 두 측면을 동시에 다룬다는 결론으로 흐지부지 끝나게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게임을 연구합니다. 뉴 미디어 이론에서부터 형식적 게임 표현까지
26
팔로워 53
팔로잉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