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2
"거의 통일되어 있다 보아도 좋을 과학자들의 시선과 달리"라는 말을 쓰셨듯, 원자력발전에 대한 과학자들의 시선은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 등에서 어느 정도 통일되어 있습니다.
"원자력은 화석연료를 퇴출시키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브릿지로 활용될 수 있다" 정도가 통일된 과학자들의 시선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 글의 "통일된 시선"이란 "원자력 만만세" 정도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아, 몇 가지 바로잡아야 할 것이 있어 보입니다.
먼저,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 발전을 성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은 독일이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독일은 탈원전을 선언한 것과 함께 신재생에너지를 늘려 나갔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2021년 잠시 부침이 있었지만 계속해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려나갔습니다. 영국과 같은 선진국이 다시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하는 모습이라는 것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영국은 탈원전을 선언했다가, 다시 최대 25%수준까지 유지하는 방향의 에너지 전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나머지 75%는 신재생에너지로 채울 것인데, 원자력 발전을 "남겨두는" 방향으로 회귀했다는 서술은 맞지만,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했다"라는 말은 다소 오해를 살 수 있는 진술이라 생각합니다. 정리하자면, 영국과 같은 일부 선진국이 "신재생에너지 위주의 에너지전환을 하되, 퇴출시킬 예정이었던 원자력을 일부 남겨두...
"원자력은 화석연료를 퇴출시키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브릿지로 활용될 수 있다" 정도가 통일된 과학자들의 시선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 글의 "통일된 시선"이란 "원자력 만만세" 정도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아, 몇 가지 바로잡아야 할 것이 있어 보입니다.
먼저,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 발전을 성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은 독일이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독일은 탈원전을 선언한 것과 함께 신재생에너지를 늘려 나갔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2021년 잠시 부침이 있었지만 계속해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려나갔습니다.
@선량한시민 안녕하십니까? 말씀하신 로컬라이징/친환경보다 비용효율성이 중요하다라는 것은 가치판단의 영역이므로, 선량한 시민님의 개인적 우선순위에 대하여 존중합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통상 에너지의 비용이 올라간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원전에 비하여 비용효율성이 있음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n.m.wikipedia.org/wiki/Cost_of_electricity_by_source
다만, 이 비용은 최근 유럽 등에서 신규 원전 건설 건설 시 핵폐기물을 영구격리/보관하는 시설을 갖출 것과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것 등 추가 조치를 취하며 가격이 비싸진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해당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안전조치 또한 해외에 비하여 일부 부족한 면이 있으므로 한국 한정으로 비용이 조금 더 저렴할 수는 있겠습니다. 안전성과 폐기물 격리를 외면하고 비용적 효율성만을 따지는 것이 옳은지 또한 가치판단의 영역에 있다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저는 이것이 개인적으로 옳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창곡동너부리 안녕하세요! 독일이 어떤 대가를 치르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으나, 이제 신재생으로의 전환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있으며 덕분에 재생에너지부과금 폐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독일이 고통받고 있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원전 찬성측에서 만들어낸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기료가 올랐던 적은 있으나, 이는 가스값이 오른 탓입니다. 한국 또한 높은 화석연료 비중으로 전기료를 올려야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때문에 그렇지 못했습니다. 결국 국민이 부담하느냐, 전력회사(우리나라 경우 한전)이 부담하느나의 차이라고 하겠습니다. 다만, 이는 화석연료의 사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신재생에너지 탓은 아닙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독일 등에서 시행한 "수명이 남은 원전을 세우는" 탈원전이 아닌, 수명이 종료한 원전을 사용 연장하지 않고, 새로운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 "감원전"의 형태였습니다. 탈원전은 문재인 정부가 정치적으로 사용한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장기적으로 모두 대체할 수 있음은 이미 관련 준비를 일찍부터 해온 독일 등 일부 국가가 보여주고 있으며, 다만 한국은 시작이 늦었으므로 급격한 탈화석연료를 위해 원전을 브릿지 기술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탈탄소화에는 당연히 고통이 뒤따릅니다. 국민연금의 고갈을 막기 위해서는 지금 제도의 개정이 필요하고, 이에는 고통이 뒤따른다고 하죠? 마찬가지로 탈탄소화도 고통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다만 이 고통 분담의 과정에서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공정하고 정의로운 전환의 필요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을 것입니다.
@미드솜마르 신재생에너지로 급격히 돌아섰던 독일은 그 대가를 치르고있음을 같이 말씀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에너지 비용 증가로 인한 고통을 국민들이 치르고있지요.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에너지를 100% 대체할 수 있다면 누가 반대하겠습니까,
정책을 영화로 배운 어떤 전 대통령때문에 성급하게 몰아부친 탈원전을 정상화하느라
그 고생을 국민들이 하고 있네요.
미드솜마르 님이 글을 써주실 것 같았어요. 감사합니다.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통상 에너지의 비용은 올라가지 않나요? 반면, 원자력은 비교적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구요.
"얼마 만큼은 용량을 생산하는데, 어느정도의 비용이 소모되냐"이 점이 사실상 친환경, 로컬라이징? 등의 요소소다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미드솜마르 신재생에너지로 급격히 돌아섰던 독일은 그 대가를 치르고있음을 같이 말씀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에너지 비용 증가로 인한 고통을 국민들이 치르고있지요.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에너지를 100% 대체할 수 있다면 누가 반대하겠습니까,
정책을 영화로 배운 어떤 전 대통령때문에 성급하게 몰아부친 탈원전을 정상화하느라
그 고생을 국민들이 하고 있네요.
미드솜마르 님이 글을 써주실 것 같았어요. 감사합니다.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통상 에너지의 비용은 올라가지 않나요? 반면, 원자력은 비교적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구요.
"얼마 만큼은 용량을 생산하는데, 어느정도의 비용이 소모되냐"이 점이 사실상 친환경, 로컬라이징? 등의 요소소다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