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책)도 (기계)번역이 되나요? [1]
2024/04/08
또는 mathematical physics. 대중에게(때로는 전공자에게조차, 따라서 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독자 모두에게도) 이렇게 자신의 정체성 일부를 밝히면, 특히 한국에서는 여전히 많은 분들이 의아해 하신다. '여전히'라고 굳이 쓴 까닭은, 과거보다는 덜하지만, 아직도 이런 반응이 낯설기는 정도 차이 외에는 비슷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물리학과치고도 필자가 학부를 보낸 학습 환경에서는 다소 색다른 커리큘럼의 면면이 보이던 과목이 수리물리학과 물리수학이었다. 수리물리학이란, 어떤 연구 분야로서보다 본격적인 연구자의 길로 들어서기 전에 수강해야 하는 전공 필수 과목명으로 훨씬 더 익숙하던 시절이었다. 게다가 과목명이라고 해도 '물리수학'이란 표현은 좀처럼 쓰지 않기도 했고.
수리물리학은 어떻게 보면 방법론이 강조된 명명이라고 할 수 있는데, 대상에 주안점을 두고 입자물리학이라고 하면 조금은 덜 생소하시는 듯하다. 아울러, 소립자물리학이라면, 좀 더 친숙하다는 의미의 반응이나 신호가 보이기도 한다. 영어로 표현해 보면, particle physics 또는 elementary particle physics인데, 도구, 엄밀히는 방법론적 도구(수학)가 아니라 물리적 도구를 강조하는 관점의 명명은 고에너지 물리학(high-energy physics)이다. 입자가속기의 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단, 이 때도 '높다'는 표현도 아주 상대적 기준에서 비롯된다.).
다시, 전공이 뭐냐고 했을 때, 가장 매끄럽게 지나가거나 대화가 이어지는 답은, 필자의 경우, 블랙홀이다. 아마 이쯤에서 오히려 더 의아해 하실 분들도 계실 텐데, 그러면 전공이 천체물리학 내지는 심지어 천문학(블랙홀도 천체의 하나라는 상식 정도를 겸비한 분들) 아니냐며 말이다. 어떤 면에서는 그래도 '입자'가 뭔지 보다는 '블랙홀'이 뭔지를 설명하는 편이 훨씬 간편하다.
그 다음으로 ...
과학기술인 시민단체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는 과학적 사고와 합리성이 한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및 문화 활동을 전개하고 시민사회와 연대하여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일에 동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