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포인트 레슨 06 : 각색/리메이크

이기원
이기원 인증된 계정 · 드라마작가, 소설가, 스토리 컨설턴트
2024/01/22
나는 드라마 작가가 되기 전에 미스터리 스릴러 소설을 썼었다. 

그 시절, 어느 신문사 신춘문예에 당선이 됐던 단편 하나가 판권이 팔려 드라마로 만들어졌다. 그때 연락을 해온 감독에게 나는 직접 각색을 하면 안 되겠냐고 물었다. 그러자 감독은 껄껄 웃으면서 내게 걱정할 것 없다며 방송이나 잘 보라는 말만 했다. 

아니, 각색을 하고 싶다는데 걱정할 게 없다니, 이 무슨 대화가 이렇단 말인가.

전화를 끊은 그 순간부터 걱정이 되기 시작했고, 그것은 현실이 됐다.  

시사회에 초대받아 갔는데, 드라마를 보는 내내 나는 얼굴이 화끈거려 견디기 힘들었다(고개를 들 수 없었다가 더 어울리는 표현이지만, 그렇게 쓰면 드라마를 안 봤다는 오해를 살 수도). 누가 저런 형편없는 원작을 썼지 하고 관객들이 두리번거리며 원작자인 날 찾을 것만 같았다. 감독이 드라마를 틀기 전에 각색자인 드라마 작가는 소개하면서도 원작자인 나를 소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서운함이 고마움으로 바뀌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드라마 상영이 끝나자마자 나는 감독에게 분노한 표정으로 달려갔다. 타이틀 롤에서 내 이름을 빼 달라고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감독은 그런 내 표정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입가에 미소를 띤 채 내게 어떻게 봤냐고 물었다.

순간, 나는 잘 봤다고, 말했다. 그것도 아주.

왜 그런 멍청한 대답이 나왔는지 지금도 정확히는 알 수 없다. 다만 원작료가 이미 입금된 상태였다는 사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이렇게 원작을 '묻지마' 각색당한 경험(!)은 내가 향후 드라마 작가로서 원작을 각색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90년대 중반에 나는 일본 드라마에 빠져 있었는데, 당시에 보던 일본 드라마와 차원이 다른 드라마 한 편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하얀 거탑>이었다. 그 드라마의 마지막 편을 보고 펑펑 울었던 나는 그 드라마를 리메이크해 보고 싶다는 욕망에 사로 잡혔다. 이어 그 작품이 야마자키 도요코라는 신문기자 출신 작가의 원작임을 알게 되었고, 4...
이기원
이기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취미는 작법 연구. <하얀 거탑>, <제중원> 집필. 드라마를 베이스로 ‘세상의 모든 작법’ 을 쉽고 분명하게 알려 드립니다. ‘공모에 당선되는 극본 쓰기’, ‘원포인트레슨’, ‘작가가 읽어주는 작법책’ 등등이 연재됩니다 이메일 keewon77@naver.com
67
팔로워 4K
팔로잉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