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라 : 소버린AI
2024/03/11
소수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AI
대형 언어 모델(LLM)로 대표되던 생성형 AI 기술은 점차 이미지, 음성, 영상을 아우르는 멀티모달 기술로 확장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성형 AI 모델 연구 및 개발에는 방대한 데이터와 자원, 그리고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소수의 거대 기업들이 AI 기술을 독점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요. 하나는 '기술의 개방', 즉 오픈소스화를 통해 AI 모델을 공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양한 기업과 전문가가 협력하여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메타의 라마2(LLaMA2) 모델의 오픈소스화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방식은 글로벌 협업을 통해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더 넓은 커뮤니티에 기술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AI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합니다.
또 하나는 오늘 설명드릴 '소버린AI(Sovereign AI)' 전략입니다. 소버린AI 전략은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그리고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독립적인 AI 능력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접근법은 특정 국가나 기업이 외부의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자국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에 중점...
@김재경 매우매우 공감하는 바입니다. 카카오가 사실상 범용 B2C 모델을 포기한 상황에서 네이버라도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할텐데,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까지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아쉽기만 하네요.
이전 회사인 LAB2050에서 저희가 AI 포럼을 개최했을 때 하정우 소장의 발표를 들으며 'AI 주권'에 대해 많이 고민해 보았는데요. B2B용 성능까진 알기 어렵더라도, B2C 로 공개된 '하이퍼클로바X'라인의 성능이 너무 아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한국에 특화된 대답을 더 잘할 수 있다고는 하나 실제로 써먹기는 너무 아쉬웠죠.
네이버나 카카오에서 이후 더 모델을 발전시켜서, 유료 모델이 나오더라도 보완된 대중적 AI모델이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에는 합칠 수 있는 구독 서비스(네이버 멤버십, 치지직 구독, 네이버 스포츠 등)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선택형 구독 모델로 소비자 참여를 이끌기도 좋구요.
@김재경 매우매우 공감하는 바입니다. 카카오가 사실상 범용 B2C 모델을 포기한 상황에서 네이버라도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할텐데,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까지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아쉽기만 하네요.
이전 회사인 LAB2050에서 저희가 AI 포럼을 개최했을 때 하정우 소장의 발표를 들으며 'AI 주권'에 대해 많이 고민해 보았는데요. B2B용 성능까진 알기 어렵더라도, B2C 로 공개된 '하이퍼클로바X'라인의 성능이 너무 아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한국에 특화된 대답을 더 잘할 수 있다고는 하나 실제로 써먹기는 너무 아쉬웠죠.
네이버나 카카오에서 이후 더 모델을 발전시켜서, 유료 모델이 나오더라도 보완된 대중적 AI모델이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에는 합칠 수 있는 구독 서비스(네이버 멤버십, 치지직 구독, 네이버 스포츠 등)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선택형 구독 모델로 소비자 참여를 이끌기도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