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라 : 소버린AI

이재훈
이재훈 인증된 계정 · IT 커뮤니케이터
2024/03/11

소수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AI


대형 언어 모델(LLM)로 대표되던 생성형 AI 기술은 점차 이미지, 음성, 영상을 아우르는 멀티모달 기술로 확장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성형 AI 모델 연구 및 개발에는 방대한 데이터와 자원, 그리고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소수의 거대 기업들이 AI 기술을 독점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요. 하나는 '기술의 개방', 즉 오픈소스화를 통해 AI 모델을 공유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양한 기업과 전문가가 협력하여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메타의 라마2(LLaMA2) 모델의 오픈소스화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방식은 글로벌 협업을 통해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더 넓은 커뮤니티에 기술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AI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합니다.

또 하나는 오늘 설명드릴 '소버린AI(Sovereign AI)' 전략입니다. 소버린AI 전략은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그리고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독립적인 AI 능력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접근법은 특정 국가나 기업이 외부의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자국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에 중점...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AI 스타트업 BD, 금융사 DT 전략/기획 등의 업무를 경험하고 현재는 IT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IT 트렌드 레터 '테크잇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독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97134
118
팔로워 174
팔로잉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