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로 헤게모니—석유 패권의 미래

파라과이 박
파라과이 박 · 현재 한국 번역가 협회 회원입니다.
2024/04/24


목차
1.석유 패권 위협하는 위안화
2.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3.달러와의 전쟁
4.달러 패권의 위기
5.석유 헤게모니와 탄소 반란
6.석유 정치와 국제 질서
7.석유 화폐


1.석유 패권 위협하는 위안화

2017/9월 브릭스 정상회담에서는 브릭스 회원국과 브릭스 신용평가기관 간 위안화 주도의 현지통화 국제결제 창설이 선언됐다. 중국은 지난 8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석유 거래를 위해 중국 위안화를 수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사우디 지도부는 이를 거부했다(현재는 수용). 중요한 발전으로 베네수엘라, 러시아, 이란은 중국의 금-위안-석유 계획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라크도 곧 합류할 수도 있다. 이어 사우디가 주도한 예멘 전쟁에 대한 UNO 조사에 대한 중국의 지원과 베네수엘라의 위안화 석유 판매 발표가 이어졌다. 그래서 마침내 가장 기다려온 미국 달러의 세계 지배에 도전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미국 달러가 어떻게 미국 이외의 경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생산 경제에도 부채가 되는 상황에 도달했는지, 그리고 왜 2007년 금융 위기 이후 미국 달러 지배의 객관적인 조건이 소멸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먼저, 화폐에는 교환 매체와 가치 저장이라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이 있다. 금속 화폐와 종이 화폐가 모두 있을 수 있다. 금속 화폐에는 금이나 은이 들어 있으며 그 자체의 내재 가치가 있다. 국가는 금이나 은과 같은 것을 제공하거나 지폐에 대한 대가로 가치가 있는 모든 것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지폐를 발행할 수 있다. 이제 종이 화폐의 가치는 무엇에 달려 있는가? 확실히, 이는 국가가 발행하는 지폐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금, 은 또는 기타 사용 가능한 금액에 따라 달라진다. 국가가 보유하는 금액은 해당 국가의 경제가 다른 경제로부터 벌어들일 수 있는 금액과 금과 은을 얼마나 생산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국가가 수출한 금액과 국가가 벌어들인 금, 은, 외화 보유액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1970...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영어 번역 10년입니다.
72
팔로워 5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