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08/23
민방공 훈련을 앞두고 소나기가 쏟아졌다. 소나기 단어가 어디서 온 말이지 누구도 답해주지 않았다. 소나기는 소낙비라고도 한다. 소낙비 단어 구성은 분석하기가 만만하지 않다. 역전앞 단어처럼 동어중복이 쓰였다. 앞 전前이 동어중복이다. 한자어가 보통인데 소낙비는 한자어 대신에 만주어 aga[雨]가 들어갔다.
소 + ㄴ + 악[雨]+ 비

소나기(취우驟雨) < 쇠나기 변화에서 '쇠' 대응 '취 驟'는 전통한자음이고 일본어 한자음  '슈shuu',  聚 만주어 한자음 Su이다.

취우驟雨(쇠나기 > 소나기. 소낙비) 만주어 슈 + ㄴ + 아가[雨] + 비[雨] > 소 + ㄴ + 악 + 비.

만주어 sadun 인척.
현대 국어 ‘사돈’은 16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사돈’의 어원은 정확하지 않은데 19세기에...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