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우진제비오름의 뜻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06/18
pixabay
제주도 우진제비오름 이름이 어디서 온 말일까. 이때는 앞서 연구한 분들의 글을 찾아보는 것이 시간 절약이 된다.

연구사
우진제비오름
예로부터 우진제비 오름 또는 우전제비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우진악(牛眞岳)·우진저악(牛眞貯岳)·우진접(牛振接)·우진저비악(雨陣低飛岳)·우전접(又田燕) 등으로 표기 하였다. 우진제비나 우전제비의 뜻은 확실하지 않다.
오창명, 『제주도 오름 이름의 종합적 연구』(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재인용

오창명 교수가 문헌조사를 해놓았다. 오 교수는 '제비' 새 이름을 어원에 연결하지 않는 신중함을 보였다. 제비가 날아가는 모습을 닮은 오름이라 제비오름이라고 한다는 민간어원이 있다. 민간어원의 특징은 형태 변화를 생각하지 않아 퀄리티가 낮다. 정보가 부족한 동시대 공시태에 안이하게 매달려 역사적 통시태를 챙기지 않아 언어가 역사적 변화를 겪을 수 있음을 잊고 있다.   우진악(牛眞岳) 기록에는 제비라는 말이 안 보여서 오 교수가 망설였을 것이다.

우진제비오름은 말발굽형 오름으로 봉우리가 두 개다.
'봉우리' 지역어(방언)에 '봉우지'(제주)가 보인다.
봉우리
「001」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
지역어(방언) 봉오지(제주), 봉우지(제주)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71594&viewType=confirm

우진제비오름의 '*우지'가 '*우리'(봉우리) 변화형이다.
*우리 > *우지. 예: 날(-이) > 낮. 느리다 > 늦다.
-리 > -ㅈ 변화는 12세기 경 요나라 거란어에 남아 있다.   
관심 있는 분은 하단을 보기 바란다.(참고로 나는 거란어에 관심이 깊다.)

봉우리가 두 개라는 것에서 접 < 겹[重] 변화를 생각한다.

「001」((주로 ‘겹으로’ 꼴로 쓰여)) 물체의 면과 면 또는 선과 선이 포개진 상태. 또는 그러한 상태로 된 것.
겹으로 된 창문.
겹으로 꼰 실.
겹으로 지은 저고리.
적군이 겹으로 아군을 둘러싸고 있다.
지역어(방언)  접(강원, 경상, 전라, 제주), 곱-다가리(제주), 곱-데가리(제주), 부찌(제주), 겁(충북), 겝(평북, 함경)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53&viewType=confirm

우진제비 < 우진저비 < *우진겹.
*우진겹[중봉重峰]이 중봉과 어순이 바뀌면서 -ㄴ 관형격 접사가 들어갔다.
우진제비오름은 봉우리가 두 개인 중봉重峰을 고유어로 *우진-겹 > 우진-접 > 우진-저비 > 우진제비 변화와 결합한 오름이다.

우진제비오름이 봉우리가 둘 있는 중봉重峰(쌍봉雙峰) 오름 뜻이라는 봉우리는 동어중복어인 것을 알 수 있다.
봉 = *우리.
봉우리 지역어(방언) 봉우지(제주).

거란소자 일부 단어는 복수 -i를 갖는다.
ger 家. 복수형 geri > geʤ.
me:r 道. 복수형 me:ri > me:ʤ.
deur 德. 복수형 deuri > deuʤ.

사진은 <낭군행기>(1134)로 우하단이 lang geʤ로 한문 대역어는 회랑(回廊)이다. 曲 일부가 ge, 雜 일부가 ʤ로 geʤ를 이루어 家 복수가 되어 회랑(回廊)의 뜻과 일치한다.
사진 노영식.

2017년 서울대 언어학과 김주원 교수가 ‘거란소자 해독의 기초적 연구’에서 li-ang V로 해독했다. V는 동사로 미해독이다. 거란소자 해독의 어려움을 말해주는 예이다.



🐮 🐄 🥛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얼룩소 시작하기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