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비>(414)의 남거성男居城과 발성拔城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08/11
<광개토왕비>(414)에 '종從A 지至B' 구문이 나온다. 'A에서 B까지(from A to B)'로 해석한다. '종從A 지至B' 어순 선후를 바꾼 '지至B 종從A' 변형 구문도 보인다. 문체적 효과를 나타낸다.

從男居城至新羅城
(<광개토왕비>(414) 제2면 8행)
至任那加羅從拔城
(<광개토왕비>(414) 제2면 9행)

한문을 대충 배운 나 같은 연구자는 '자自A 지至B'(from A to B)나 '종從A 도到B'(from A to B) 구문에 익숙하다. '자自A 지至B'나 '종從A 도到B'와 같은 '종從A 지至B' (from A to B)구문이 <광개토왕비>(414)에 보인다. 

從男居城至新羅城(<광개토왕비>(414) 제2면 8행)은 '남거성男居城에서 신라성新羅城까지'이고 至任那加羅從拔城(<광개토왕비>(414) 제2면 9행)은 '발성拔城에서 임나가라任那加羅까지'이다.  至任那加羅從拔城를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다'로 해석1하는 것은 서당 훈장 천자문 학습방식 풀이로 넌센스다. 노태돈, 권인한, 여호규 교수는 광개토왕비문 연구에서 업적을 내는 호머HOMER 같은 석학으로 해석1을 따르는 것은 호머가 존 순간이다.

 '남거성男居城에서 신라성新羅城까지'(從男居城至新羅城)에서 신라성新羅城은 경주이고 남거성男居城은 고구려군 발진기지이다. 남男(male child)은 만주 부여 고토 다우르어 no:n이 보인다. 가야 구해왕 맏아들을 노종奴宗으로 표기했다. 남거성男居城은 *노거성 奴居城의 이표기이고 한자어 어순의 국내성國內城 이표기이다.

 '발성拔城에서 임나가라任那加羅까지'(至任那加羅從拔城)에서 발성拔城은 *탁성擢城[大城], *건성搴城[大城] 이표기로 보인다. 만주 부여 고토 다우르어 suwu-(= sugu-) 拔[毛]는 발성拔城이 수성首城, 도성都城으로 경주와 일치한다.

나는 동아일보 문화부장, 논설위원을 지낸 우석 안재준 선생님으로부터 한시를 배웠다. 우석 선생은 광개토왕비문의 문장이 시문으로서도 수려하다고 하였다. 

🐮 🐄 🥛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얼룩소 시작하기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