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과 능력 그리고 경계에 대해

박순우(박현안)
박순우(박현안) · 쓰는 사람
2023/08/25
일주일에 하나씩 연재하던 글을 거의 한 달째 쓰지 못하고 있었다. 아이들 방학이라 집중력이 분산된 게 가장 큰 이유였다. 매일 쓰지 않던 시절에는 일상이 흔들려야 글감이 생기고 글이 잘 써졌는데, 매일 쓰는 삶으로 건너가고부터는 일상이 정리되지 않으면 글도 쓰이지 않는다. 영감이나 재능에 기대던 날들이 성실과 노력에 기대는 날로 건너간 것이다.

속이 타들어 갔다. 일주일에 한 번이 어렵다면 2주에 하나라도 써야 할 텐데. 날짜는 째깍째깍 잘도 흘러가는데 도무지 내 글은 진전이 없었다. 집중력도 연습과 꾸준함이 필요한 듯했다. 학교가 개학을 하면서 나도 다시 이전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며칠은 멍하기만 했다. 머릿속에 무언가를 넣고 뒤집어 보며 골똘히 몰두하는 상태에 이르기가 너무나 어려웠다.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다. 어떻게든 써야 한다. 써야만 다시 쓰는 삶으로 건너갈 수 있다. 독하게 마음을 먹은 건, 책임감 때문이었다.

몇 달 전 독서모임에서 MBTI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J와 P 성향을 비교하고 있었다. J는 계획적인 성향을, P는 즉흥적인 성향을 가리킨다. 별생각 없이 "나는 완전 P성향이다. 계획 짜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니 많은 사람들이 놀라워했다. 내가 너무나 J라고 생각했다는 것. 모임을 운영하는 입장이라, 그동안 앞에 나서서 계획하고 진행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기 때문이었다. 계획성이라고는 없는 사람이 J성향으로 보일 만큼 다르게 행동한 건, 역시 책임감 때문이었다.

책임에 대해 생각한다. ©unsplash

나는 책임을 엄마에게서 배웠다. 어릴 적 엄마는 한 남자의 아내이자, 두 아이의 엄마였고, 친정의 장녀이자 시집의 맏며느리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한 사업체를 이끄는 사람이었다. 시부모를 모시면서 거래처에 연락을 하고 장부를 정리했다. 삼시세끼 밥을 하며 두 아이를 돌봤고, 집안일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것저것 씁니다. 『아직도 글쓰기를 망설이는 당신에게』를 펴냈습니다.
1.1K
팔로워 1.4K
팔로잉 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