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도 태어나지 않는 사회에서, '집'의 의미를 다시 묻다.
2022/12/19
며칠전 독일에서 온 손님들과 나눈 식사 자리에서 한국의 출생률에 대한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나를 비롯한 몇몇은 “0.7 정도 될 것" 이라고 얘기했는데, 그 자리에 함께 있었던 사람들이 그 숫자를 믿지 않았다. 곧바로 스마트폰으로 검색했다. 2022년 연간 출산율 ‘0.77’ 이라는 숫자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언제쯤 부터 였을까. 출생률이 ‘1’이라는 숫자와 멀어진 순간 말이다. 2017년 이후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1명이 되지 않았다. 2018년 0.9로 떨어지더니, 이후 매년 줄어드는 형국이다. 이는 단순히 새로 태어나는 사람이 줄어드는 것 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재 한국 인구는 35개월 째 아주 꾸준히 감소 중이다.
"지방은 먹이가 없고, 수도권엔 둥지가 없는데 대체 어디서 알을 낳고 키우냐?"
정말 와 닿는 얘기네요. 결론은 [디지털 노마드]인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만, 그것도 둥지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해야 하는 일이 될 것 같아 걱정입니다. 줄어드는 출산율과 증가하는 부동산 비용 사이의 역상관관계. 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앞으로도 더욱 심화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ㅠ
내집마련... 아이가 있는 가정으로서는 주거환경이 안정화 되는것이 좋은데 , 내가 원하는 곳은 비싸서 못사고 , 사려고 해도 돈과 이자는 부담으로 다가올수 밖에 없는, 참 어려운 일인것 같아요...출생율을 높이려면 아이를 낳고 싶게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게 쉬운일은 아닌것 같아요.
"지방은 먹이가 없고, 수도권엔 둥지가 없는데 대체 어디서 알을 낳고 키우냐?"
정말 와 닿는 얘기네요. 결론은 [디지털 노마드]인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만, 그것도 둥지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해야 하는 일이 될 것 같아 걱정입니다. 줄어드는 출산율과 증가하는 부동산 비용 사이의 역상관관계. 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앞으로도 더욱 심화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ㅠ
내집마련... 아이가 있는 가정으로서는 주거환경이 안정화 되는것이 좋은데 , 내가 원하는 곳은 비싸서 못사고 , 사려고 해도 돈과 이자는 부담으로 다가올수 밖에 없는, 참 어려운 일인것 같아요...출생율을 높이려면 아이를 낳고 싶게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게 쉬운일은 아닌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