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은 심리검사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다

오찬호
2023/06/02
초등학생인 둘째가 화장실에 가더니 혼잣말을 한다. 두루마리 휴지의 방향이 평소와 다르다는 거다. 바깥쪽에서 당겨야 하는데 반대로 끼워져 있으니 불편하다면서 투덜거린다. 화장실에선 휴지가 있냐 없냐만 고민하면 되는데 왜 그렇게 예민하냐고 하니 대화를 듣던 중학생 첫째가 끼어든다. 휴지의 방향에 따라 사람 성격이 다른데, 동생의 경우 어쩌고 저쩌고 특성이란다. 의아해하자 진짜 그런 거 있다면서 스마트폰을 들고 설명한다.

그런 시대다. 탕수육 소스를 부어먹는 사람과(부먹파) 소스에 찍어먹는 사람의(찍먹파) 특징 등의 분석이 얼마나 많은가. 떠먹는 요구르트 뚜껑에 묻은 걸 먹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를 논하고, 무인도에 갈 때 들고 갈 물건에 따라 신중하네, 즉흥적이네 등 괴상한 해석이 등장한다. 별의별 ‘그저 재밌자고 하는 소리’가 넘쳐난다. 문제는, ‘재밌자고’에서 안 근친다는 거다. 그런데 유행이 되면 되돌리기가 힘들다. 비과학성을 짚은들, “맞을 수도 있죠”라는 식의 반론이 등장한다. 

초등학생들도 자신의 성격을 체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자신의 성격을 매우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로 구분된 가로줄 어디에서 적당히 찾아야 한다. ‘나는 어떤 사람’이라는 확인을 과거보다 빨리하는 셈이다. 이 정도까진 괜찮다. 하지만 이런 토대 위에서 수업시간에도 MBTI가 활용된다. 학생들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뭉치게 하면 집단 간의 차이가 더 선명하게 보이면서 순간 수업이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일단 진단 자체가 전문적이지 않다.  (한국일보 칼럼에서 이를 짚은 바 있다. 아래 참조) 
오찬호
오찬호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오찬호
오찬호 인증된 계정
작가
여러 대학에서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고, 사회가 개인을 어떻게 괴롭히는지를 추적하는 글을 씁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2013)를 시작으로 최근작 <민낯들>(2022)까지 열세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15
팔로워 1.2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