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자들이 말하는 '진짜 진보'와 '진짜 보수'

POLYPOLI
POLYPOLI · 정치지식 가공자, 생산자, 전달자
2022/10/12
'진보'와 '보수'의 정확한 의미를 아시나요?
I. 들어가며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이라도 ‘진보’와 ‘보수’라는 두 단어는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하셨을 겁니다. 그리고 이 두 단어는 언론과 정치인들의 입에 매일같이 오르내리지만, 정작 각자의 삶에 바쁜 우리는 평소엔 이 두 단어의 의미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지 못하죠.
  하지만 이처럼 정치에 무관심한 우리에게도 ‘정치성향’ 또는 ‘정치이념’에 대해 깊게 고민해봐야하는 시기가 주기적으로 찾아오는데요. 이는 바로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때문입니다.
우리 삶에서 뗄래야 뗼 수 없는 두 단어. '진보'와 '보수'.
  유권자들은 투표선택을 위해 자신의 정치이념에 대해 고민합니다. 그리고 각 정당 혹은 정치인의 정치이념에 대해서도 고민하죠. 이후 자신의 이념과 가장 유사한 이념을 대변할 것 같은 정당이나 정치인에게 표를 줍니다.
  이처럼  민주주의를 영위하는 유권자에게 ‘정치이념’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정치이념의 기준’에 대해 정확히 배운적이 없죠. 대체 ‘정치이념’이란 무엇일까요? ‘진보’ 와 ‘보수’는 무엇이 다른 걸까요?

II. 정치와 정치이념의 정의
정치의 정의
  정치학자 데이비드 이스턴에 따르면 ‘정치’란 ‘가치의 권위적 배분’입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가치나 재화는 유한하기에, 이를 구성원들로하여금 적절히 나눠 갖도록 해야하는데요. 이 역할을 ‘정치’가 하는 것입니다. 즉, ‘정치’는 ‘분배방식에 대한 약속’입니다.
이념의 정의
  그렇다면 ‘정치이념’은 무엇일까요? 또다른 정치학자 필립 컨버스에 따르면 ‘이념’이란 ‘믿음체계’입니다. 유권자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굳이 '정치'라는 주제를 택하는 건, 너와 나와 우리를 이해하기 위함이야!' 학부부터 대학원까지 '정치학'을 전공했습니다. 국회보좌진, 선거캠프 등 다양한 정치현장을 경험하기도 했구요. '정치'라는 딱딱한 주제를 말랑말랑하게 풀어내보려 합니다. '정치'란 '세상의 틀'이자 '분배의 방식'이며,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얘기'니까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박스냥이의 여정. 함께 하시겠어요? ----- ◆ 소소하게 유튜브 채널을 운영중입니다. 작지만 중요한 정치학지식을 전달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Hc-bVjrm3b_aJCX25UJS7Q
5
팔로워 16
팔로잉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