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도 평가받는 요즘 세대의 연애

오찬호
2023/06/09
십 대 중반인 A는 담임교사와 상담을 할 때마다 답답함을 느낀다. 교사는 친구를 좀 사귀었냐고 매번 묻는다. 친구 숫자가 학기 초에 비해서 늘어났는지를 궁금해한다. 아니라고 답하면, 질타로 느껴질수 밖에 없는 말들이 이어진다. 십 대의 시선에선, ‘친구가 없다는 건 문제가 있는 거야’라고 들린다. 교사의 미묘한 태도를 A는 경험적으로 안다. 매번 비슷비슷한 상담을 해서다. 

친구의 숫자는 관계의 원만함과 무관하다. 외향적인 사람이 성격까지 좋다면 주변에 사람이 많을 순 있지만 그 경향성을 지나치게 신뢰해 ‘많고 적음’으로 모든 사람을 재단해선 안 된다. 친구가 많은 걸 싫어하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어떤 개인적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냥 많은 게 싫어서다. 오히려 끼리끼리 끈적하게 뭉쳐있는 이들이 그 힘을 이용해 남을 괴롭히는 경우가 많다. A를 짜증 나게 하는 인간들도 그랬다. A가 그들과 다투다가 들은 가장 황당한 말은, “그래서 어쩌라고, 너는 친구도 없잖아”였다. 친구 있는 걸 ‘좋은’ 관계 자체라고 해석하는 게 습관적인 사회에선 이처럼 황당한 무례가 넘쳐난다.

잘 되고 싶은 간절함에서 잘 되어야 한다는 강박으로

2000년대 전후로 관계 맺음의 특징이 달라졌다는 건 문화연구자들의 공통적인 분석이다. 사회가 까칠해지면, 개인도 까칠해질 수밖에 없음이 부단히 증명되었다. 집단 따돌림이 외환위기 이후 구체화된 것도 사실이고 그 연료는 지금 학교폭력의 큰 원인 중 하나다. 

그러니 ‘걱정하는 마음’도 커진다. 보호자들은 내 아이에게 친구가 많으면 일단 안심한다. 교사도 마찬가지다. 친구가 없는 학생을 찾아내고 상담한다. 여기서 ‘없는 건 문제가 아니’라는 신호를 주면 좋겠지만, 실제는 좀 잔인하다. 원...
오찬호
오찬호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오찬호
오찬호 인증된 계정
작가
여러 대학에서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고, 사회가 개인을 어떻게 괴롭히는지를 추적하는 글을 씁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2013)를 시작으로 최근작 <민낯들>(2022)까지 열세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15
팔로워 1.2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