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의 어원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4/02/18
(1)
유년 시절 시골 면 소재지 친척 이웃집 미닫이창 문짝 틈에서 박쥐를 처음 만났다. 중학교 때는 해가 지면 읍 소재지 지붕 위 하늘을 날아다니는 박쥐 떼를 보았다. 박쥐 어원에 관심을 가졌다.

(2)
'박쥐'는 쥐처럼 생겼다. '박쥐'의 '박'이 무엇인지는 《우리말샘》(국립국어원 편)에서 '밝다'의 '밝-' 옛말과 '쥐'가 결합한 단어라고 보았다. 
 ‘밝다’의 옛말의 어간과 명사 ‘쥐’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우리말샘》(국립국어원 편).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04839&viewType=confirm
한자어는 복익(伏翼), 비서(飛鼠), 선서(仙鼠), 천서(天鼠), 편복(蝙蝠)이 보인다. 국립국어원 편 국어학박사급 연구...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K
팔로워 244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