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싫어하는 노동, 입원진료

O
Oncoazim 인증된 계정 · 아줌마, 의사, 연구자
2024/04/14
2024.4.14 

병동 당직을 선 지 두달째, 4월 들어서 세 번째 당직이다. 
당직을 설 때마다 입원진료라는 일의 성격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의대교수들은 입원진료에 개입은 하지만 최소한이다. 하루 회진 1-2회가 전부. 환자 상태의 변화에 대한 보고를 받고 즉각적인 조치를 하는 것은 모두 전공의의 일이다. 병동 환자의 주치의를 맡는 것, 그리고 당직을 서는 일은 전공의 중에서도 가장 하부, 즉 1-2년차 전공의에게 집중되어 있다. 사실 3년차까지 당직을 골고루 서면 주 80시간, 주 24시간 이상 휴게시간이라는 전공의법을 지키는 것은 무리가 없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는다. 3년차는월 1-회 당직을 서고, 2년차는 주말당직을 서지 않는다. 1년차에게 일이 몰리면서 종종 전공의법을 준수할 수 없는 당직표가 나오지만 모두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다. 

그 일이 하루아침에 교수의 일이 되어버렸다. 

교수가 환자에게 직접 동의서를 받거나 콧줄을 넣거나 흉수를 빼는 일, 응급실 콜을 직접 받고 오더를 넣는 일을 우리는 좀처럼 상상하지 못했다. 이제 퇴원하셔야 한다고, 집으로 가기 어려우시면 장기요양이 가능한 다른 병원을 안내해드리겠다고 환자와 가족을 설득하는 일 역시 그렇다. 그런 '허드렛일'은 젊은 사람들이 '해드려야 한다'는 관념이 뿌리깊게 박혀있다. 
대다수의 교수들은 회진 때 전공의의 보고와 시중(!)을 받는 일에 익숙해져있어서 입원진료를 본인이 관리해야 하는 일로 여기지 않는다. 물론 이 비상시국에 이런 '허드렛일'을 전혀 안하는 이는 없다. 그러나 종종 과거의 관성에 따라 본인 환자인데도 어떻게 되겠지 하고 제대로 챙기지 않는 모습들이 종종 나타난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23
팔로워 58
팔로잉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