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가족/ 돌봄) 담론의 새롭지 못함에 대하여

오찬호
2023/01/27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을 집필할 때, ‘공동 육아’를 장기간 취재했다. 공동 육아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권하는 경험자들에게는 비슷한 패턴이 발견되곤 했는데, 그건 이들이 ‘공동’을 ‘바른’ 육아로 해석하는 자신감이었다. 궁금해서 어떤 점이 다른 게 아니라 바른 것인지를 묻고 또 물었지만 명확한 답은 없었다. 다만, 공동육아가 아닌 육아는 ‘바르지 않다’는 느낌을 자아내는 추임새는 잦았다.

아쉽다는 수준이 아니었다. 일반적인 어린이집을 교도소처럼 묘사했고, 그 단어를 따박따박 거침없이 말하기까지 했다. 학습활동을 이야기할 때는 유치원의 영어 수업을 꼬집으며 ‘학대나 마찬가지’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자연스레 본인들의 활동은 ‘윤리적으로 옳은’ 위치를 선점했다.

거시적으로, 그것도 매우 거시적으로 시야를 확대하면 어느 정도 맞는 설명일지도 모른다. 한국사회의 비정상적 교육열은 누구나 인정하는 것이고 이와 호흡을 투박하게 맞출수록 오히려 좋은 교육이 되어버리는 게 현실이니 말이다. 하지만 고도를 낮춰서 미시적인 일상 속으로 들어오려면 이야기는 달라져야 한다. 망원경으로 분석될 키워드를 현미경 안에서 찾으면 대화는 어그러진다. 아이가 6개월 때부터 ‘가장 가까운 곳’이 어린이집 선택의 절대 기준이었던 나는, 무안한 건 둘째치고 일단 기분이 나빴다.

그들은 내가 공동육아를 하지 않았음을 듣고서도, ‘공동육아를 하는 부모는 보통 부모와는 다르다’는 이야기를 멈추지 않았다. 무엇이 남다른지, 증거는 없었다. 그들은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말만 하면서, 마음대로 설정한 반대편과 자신들을 분류하고 수직적으로 구분했다. 남다른 무엇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보호자의 입에서 다양성은 배제의 연료로 사용되고 있었다. ‘우리는 다르다!’는 신념이 과해서 나타나는 평범한 육아에 대한 혐오는 매우 뾰족했다. 에둘러 슬쩍 짚었지만, 인정도 인지도 안 했다.

그저 공동육아를 즐겁게 하면 될 일을, 이 즐거움을 비교할 반대편에 굳이 못난 포장지를 입히면서 ...
오찬호
오찬호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오찬호
오찬호 인증된 계정
작가
여러 대학에서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고, 사회가 개인을 어떻게 괴롭히는지를 추적하는 글을 씁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2013)를 시작으로 최근작 <민낯들>(2022)까지 열세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15
팔로워 1.2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