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덫'과 가야어 돌[梁. 門]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12/29

https://www.youtube.com/watch?v=yABB3gtuWA4
(1)
서울에 공부하러 온 학생4이 포장마차에서 '떡라면'을 '똥라면'으로 알아들었다는 우스개는 지역간 모음 체계의 차이를 보여준다. 4는 이름만 되면 아는 유명인사가 되었다. 4가 시작한 일 중에  한문학도들이 이용하는 한국고전번역DB가 있다.
지인1이 '선생'을 발음하면 지인1의 친구2는 '슨셍'으로 알아 듣는다. 1은 '손상' 가까운 발음으로 '선생'이라고 해야 2는 '선생'으로 알아 듣는다. 1은 동남부 경상 방언을 쓰고 2는 중부 방언을 쓴다. 지인3이 '선생' 하는 경우 2는 정확하게 '선생'으로 알아 듣는다. 3은 서남부 전라 방언을 쓴다. 동남부방언 모음에는 중부 방언과 서남부 방언의 'ㅓ'가 없다. 'ㅗ'에 가깝게 알아듣는다. 동남부 방언은 'ㅓ'와 'ㅡ'는 똑같이 발음...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47
팔로잉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