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4/02/02
(1)
20대 지인의 권유로 영화 <웡카>(로알드 달 원작)를 보았다. 뮤지컬에 초컬릿 소동은 이야기 포장이고 영아가 세탁물 투입구로 들어가는 비극이 있다. 
영화 <웡카>는 화제작이고 동네 서점에서 <웡카>(로알드 달 작)를 찾아 읽어보았다.
 
(2)
영화 <웡카>에 파트리크 쥐스킨트 원작 <향수>가 겹쳐 생각났다. 향수는 아우슈비츠 대학살의 비극을 슬쩍 깔고 있다.  주인공은 파리에서 아우슈비츠 박물관을 찾아간다. <향수> 주인공 탄생 이야기도 <웡카> 영아의 비극과 맞먹는다.

(3)
<웡카>(로알드 달 작)와 <향수>(파트리크 쥐스킨트)는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문학은 빵을 만들지는 않으나 마음의 양식을 만든다.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은 빵이 전부가 아니다. 죽...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47
팔로잉 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