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2/12/25
 코로나 이후 감염자 추적과 같은 뉴스를 통해 이미 질병의 전염에 관한 네트워크에는 꽤 익숙해져 있는듯 하다. 휴먼네트워크 3장에서는 전염과 네트워크 효과를 다루고 있다.

네트워크는 엉성하더라도 충분히 연결될 수 있다. 모든 노드가 다른 모든 노드와 연결될 필요가 없다. 그저 엉성하기 얽힌 노드를 타고 다니다 보면 거의 대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이한 점은 이렇게 거대한 연결된 구조는 갑작스럽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엉성한 연결이 조금씩 조금씩 연결을 늘리다 보면, 작은 조각들이 조금씩 생겨나다 어느 순간 확 대부분이 연결된 거대한 집단 구조가 형성된다. 

이렇게 급작스럽게 상태가 지역(local)에서 전역(global)로 뒤바뀌는 모습이 마치  물이 끓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상전이(phase transition)라는 표현을 사용한다고 한다. 개개인이라는 상이, 순식간에 사회라는 상으로 전이하는 것이다. 이는 각종 질병 뿐만 아니라, 심리, 정보 까지도 전역적으로 작용한다는...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52
팔로워 1.2K
팔로잉 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