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멀한 언어를 썼다고 해서 글의 악취가 가려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비판의 비판

u
utkfspfott · 본 계정을 잃어버려 새로 만든 계정
2023/09/20
 전 글을 작성하고 얼마 되지 않아 한 분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글의 내용이 꽤 길었기 때문에 이렇게나 빨리 댓글이 달릴줄은 몰라 놀란 마음을 진정하고 댓글의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경기청년유니온 위원장이신 이종찬 위원장님의 댓글은 짧고 간결했습니다.

포멀한 언어를 썼다고 해서 글의 악취가 가려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후 댓글로 구체적인 지적을 부탁드린 뒤 기다렸었지만 더 이상의 지적은 없으셨습니다. 이번에는 X를 확인해 보니 드디어 따끔한 지적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편에서 언급되는 글 '청년유니온과 관련하여 아무 걱정할 필요 없는 이유'와 관련하여 김환민 대표님은 '당사자의 '동의를 얻은 범위 내에서만' 행동하고 있다고 이미 몇 번 언급이 있었음에도 당사자와의 연결고리가 없을 것이라는 무리한 주장을 전개합니다'고 말합니다. 즉, 제가 눈치껏 상상해서 '피해 당사자와의 접촉이 없었을 것이다!'고 내린 결론이 아닌 해당 문장을 토대로 제 나름의 조사를 하고 내린 결론입니다. '당사자의 '동의를 얻은 범위 내에서만' 행동하고 있다고 이미 몇 번 언급이 있었음'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한 혼잣말이나 단체 내부에서만 말한 것이 아니라 타인도 알 수 있는 곳, 예를 들면 X나 성명문 및 입장문 등에서 피해 당사자와 접촉하고 있고 동의를 얻은 범위에서만 행동하고 있다는 언급을 했다고 추론하는게 합리적입니다.

  다만 해당 주장과는 다르게 김환민 대표님, 경기청년유니온, 이종찬 위원장님의 트위터에서 작성된 글과 rt된 성명문, 입장문 등을 토대로 7월 26일부터 8월 7일까지의 글을 전수 조사해 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본 계정( https://alook.so/users/BetQ7Gy )
4
팔로워 4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