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에 찬성하는 사회에서 블라인드 채용은 무용하다

오찬호
2023/03/24
아이가 햄버거를 먹고 신장이 망가진다, 그래서 보호자는 인과성을 주장하며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시위를 했다. 관련뉴스의 댓글에는 꼭 이런 식의 반응이 등장한다. “어떻게 아이에게 햄버거를 먹일 생각을 하지? 우리 아이는 9살인데 햄버거가 무엇인지도 모르는데!” 무례하지만, 빈정거림이 대개 그렇듯 당당하다. 그리고 자화자찬은, 언제나 생뚱맞다. 
   
그저 악성댓글 정도로 볼 수 없는 건, 사람의 감정이 사회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좋은 음식을 먹이겠다는 의지가 집착이 되고 나아가 강박의 수준에 이르면 그게 윤리로 해석되어 스스로를 도덕적이라 착각한다. 생활습관이 선악으로 구분되면 쉽사리 자신과 다른 쪽을 찾아내 강하게 비난하며 ‘노력하지 않은 업보’라고 조롱한다. 이는 다짐과 실천이 투박하게 부유하는 자기계발 시대의 대표적이 현상이다.
 
노력이 도덕이 될 때
 
능력주의 사회의 문제는 ‘능력’이 아니다. 능력 있는 사람이 전문적인 일을 하는 건 사회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이다. 의사가 능력이 없으면 환자는 병원 가서 더 아파지게 되니, ‘사람이 진국’이라서 의료행위를 할 수는 없다. 문제는, 이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 노력’과 그 노력의 전제 조건인 ‘꺾이지 않는 마음’이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은 명백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성공의 원인으로만 언급되면서  ‘도덕’으로 간주된다는 거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 이슈마다, 절제된 토론이 아닌 조롱과 멸시의 언어가 남발되는 건 ‘비정규직이 정규직을 요구하는 걸’ 비도덕적이라고 여겨서다. 상대가 윤리적이지 못하니 노골적으로 빈정거리며 우롱한다. 이때부터 악순환은 선순환된다. 
   
① 불평등의 크기를 줄이는 정책은 ‘열심히 공부한 사람을 무시하는’ 역차별이라는 항의에 막혀 표류하니 ② 일자리 양극화는 심해지고 ③ 몇몇 일자리는 바늘구멍이 되어 통과하는 시간과 비용은 높아져 ④ 그 노고가 억울하니 ①번부터 반복된다.

몇 번 순환하다 보면 그 사회에는 ‘시험’만 남는...
오찬호
오찬호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오찬호
오찬호 인증된 계정
작가
여러 대학에서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고, 사회가 개인을 어떻게 괴롭히는지를 추적하는 글을 씁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2013)를 시작으로 최근작 <민낯들>(2022)까지 열세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15
팔로워 1.2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