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격변은 늘 한반도를 흔든다 - 트루먼의 역설

박정욱
박정욱 인증된 계정 · 라디오PD,<중동은 왜 싸우는가>저자
2023/06/08
한반도와 중국은 정치적으로 대단히 긴밀하게 엮여 있다. 흔히 김일성이 한국전쟁을 일으킴으로 해서 중국의 대만 점령이 물거품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한다. 한반도의 정치적 변동이 중국 정치에 영향을 미친 사례일 것이다. 반대로 중국의 정치적 변동이 한반도의 현대사에도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 이야기이다. 미-중 갈등이 심해지고 한반도의 국제정치적 긴장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양국이 국제정치적으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트루먼 대통령과 장제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시점에 미국의 대통령은 해리 트루먼이었다. 그는 원래 루즈벨트 대통령이 4연임을 할 때 부통령으로 함께 당선된 인물이다. 그러나 루즈벨트가 4번째 임기를 시작한지 석달도 되지 않아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트루먼은 엉겁결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대학을 나오지도 않았고, 뛰어난 정치적 업적을 보여준 적도 없으며, 대통령으로 선출된 인물도 아니었다. 카리스마가 작렬했던 루즈벨트의 눈에 그저 야심 없고 만만하지만 특별히 꼬투리 잡힐 약점도 없다고 여겨진 부통령감이었을 따름이다. 대통령이 된 트루먼은 내세울 것이 없었기에 야당과 언론은 늘 그의 대통령 자격을 공격했고 대통령이 된 트루먼 역시 항상 이 점이 콤플렉스였다.

하지만 전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트루먼은 서유럽의 복구를 지원하는 마셜플랜을 시작하고 소련에 대한 봉쇄정책을 펴는 등 향후 수십년간 지속되는 국제질서의 굵직한 기틀을 세웠다. 국내에서 무수한 공격을 받으면서도 어쨌든 새로운 슈퍼파워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중요한 결정들을 내렸다. 오늘날 트루먼 대통령에 대해 미국인들은 후한 평가를 내린다. 

그러나 트루먼의 결정적인 과오는 중국의 공산화를 손놓고 지켜보았다는 대목이다. 이 시기 트루먼의 시선은 늘 유럽을 향하고 있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 모두 유럽에서 시작되었고, 미국의 최대 라이벌로 떠오른 소련도 동유럽으로 팽창해나갔으며, 무엇보다 미국인들 자신이 유럽으로부터 이주해온 사람들이거나 그들의 후예였기에 유럽의 안보는 미국에...
박정욱
박정욱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MBC 라디오 PD. <손석희의 시선집중>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양희은 서경석의 여성시대> 등 시사, 경제, 교양 프로그램들을 주로 담당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역사를 두루 좋아하는 역사덕후이지만 특히 이슬람권의 역사와 정치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중동은 왜 싸우는가>가 있다.
5
팔로워 265
팔로잉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