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가치있게' 바쁜가?: 바쁘다는 말을 연신 외치는 당신, 점검이 필요하다]

김재성 작가
김재성 작가 인증된 계정 · 작가, 프레젠테이션 전문가
2024/05/08
Operation 최적화 컨설팅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Value added time analysis 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가치 있는 시간을 분석하는 것인데, 주로 생산직 작업자들의 작업 효율을 측정할 때 많이 사용 되는 방법이다. 수시간을 들여 작업자들을 관찰하며 그가 실제 일하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여 작업자의 효율을 따지는 방식이다. 

작업 시간에 게임을 한다거나, 담배를 핀다거나 하는 고질적인 문제 외에도, 도구가 추가 지급 되면 일어나지 않을 '노는 시간'이나 작업하는 방식을 바꾸면 줄어들 '유휴 시간'을 모아보면 상당히 많은 효율이 올라간다.

이건 그런데, 비단 생산직 노동자들에게만 해당되는 일이 아니다. 아마 대다수 모임의 연설은 이렇게 시작하곤 한다
'많이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 문구에서 이미 우리는 '바쁘다'라는 것이 '긍정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당연한 것이, 농경사회부터 '부지런함' '근면'은 곡식을 더 많이 수확하게 하는 가장 큰 Factor였다. 천재지변, 기상여건등은 어차피 컨트롤 할 수 없으니 차치하고 그 외에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Factor는 바로 근면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거의 이 버릇이 상당히 산업변화가 많이 일어나서 일하는 방식 역시 변화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면'을 최고의 가치로 치는 풍토가 만연해 있다. 어떤 사람은 새벽 늦게까지 일한걸 자랑삼아 떠들기도 하고, 주말 출근 하는 것이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그런데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은 '잘 해야 하는 것'이지 '열심히 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당신이 수시로 '바쁘다'라는 말을 연발하는 사람이라면, 당신이 진짜 바쁜것인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내가 실제로 컨설팅 업무를 진행하며 Value added analysis를 할 때도, 
일하시는 분들은 '우린 바빠서 그런거 할 여유 없다' 라고 늘 말하곤 했으니 말이다.

그럼 아...
김재성 작가
김재성 작가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자기 계발 컨텐츠를 만듭니다 - 서울대 컴퓨터 공학부 졸업, 맥킨지 컨설턴트로 근무 - IT 대기업 전략팀 근무 중 - 저서 * 당신을 위한 따뜻하고 냉정한 이야기 (2022) * 슈퍼업무력 ARTS (2020) * 퍼펙트 프리젠테이션 시즌2(2017) 등
326
팔로워 707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