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대만 전쟁설이 계속 나오는 배경

문경환
문경환 · 기자, 출판인
2024/05/12
지난 4월 23일 일본을 방문 중인 존 아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은 기자 간담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군에 2027년 (대만 침공을) 실행할 준비를 진행하도록 지시했다”라며 “시 주석이 지시하면 군은 (침공에) 나선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3월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제출한 서면 입장에서도 “모든 징후는 중국이 2027년까지 대만 침공 준비를 마치라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지시를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중국-대만 전쟁설이 끊임 없이 나오는 배경은 뭘까요?

미국은 힘이 갈수록 약해지지만 중국의 힘은 급격히 세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중국의 성장을 억제하려고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2010년대 중후반 시작한 미중 무역전쟁과 뒤이은 중국 고립봉쇄 정책, 이른바 ‘탈동조화(디커플링)’ 바람이 시작된 배경입니다. 
   
미국은 2018년 중국 수입품 818종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개시했습니다. 또 화웨이와의 모든 거래를 중단시켰습니다. 중국산이 들어간 제품에 불이익을 주는 인플레이션 감축법도 만들었습니다. 
   
미국은 자국의 동맹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도 중국 고립봉쇄 정책을 강요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도록 삼성전자를 압박하면서 중국에 투자를 멈춰야 보조금을 주겠다고 합니다. 반도체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기 때문에 투자를 멈추면 결국 도태되어 망하게 됩니다. 삼성전자 처지에서 보면 중국 시장을 포기할지, 미국 시장을 포기할지 선택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미국은 세계 각국에 ‘미국이냐 중국이냐’를 선택하라고 강요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중국 고립봉쇄 정책이 먹히지 않을 정도로 중국이 너무 강합니다. 
   
일단 미국 기업들조차 중국과의 관계를 끊지 못합니다. 미중 무역량은 무역전쟁 때문에 일시적으로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 2022년에는 아예 사상 최대치를 찍었습니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많은 인터넷 언론사 기자. 1인출판사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144
팔로워 43
팔로잉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