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관자들의 계절, 침묵의 봄

김승문 · 작가
2024/05/16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방관자들의 계절, 침묵의 봄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몇 명의 힘이 필요할까. 거대한 시공간을 가늠한다면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필요할 듯한데 간혹 한 사람만으로 바뀌기도 한다. 그가 온 세상을 돌아다니며 바꾼다는 의미가 아니라 큰불을 일으키는 도화선이 되는 경우이다. 사소해 보이는 까닭에 당시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훗날 선을 거슬러 올라갔을 때 발견하게 되는 최초의 점 같은 존재 말이다.
‘한 사람’이란 말을 가만가만 음미하다 보면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이 떠오른다. 

애니메이션으로 접하고 나서 한동안 뭉클했던 느낌이 생생했던 동화이다. 원작에 사용되었다는 사천여 개의 단어들은 빠르게 스며들어 마음을 무장해제 시켰다. 몽환적이었지만 실화인지 판타지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현실적으로 다가왔다. 이게 가능한 일일까. 초반의 의구심은 마지막에 가서는 가능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바뀌었다. 한 사람의 일생을 통틀어 오십 년짜리 계획을 세운다는 건 얼마나 징한 의미인가. 남은 삶을 올인한 이의 힘이란 얼마나 깊이 있는 위대함을 품고 있는가.

뜬금없이 이 짧은 동화를 떠올린 건 <침묵의 봄>을 통해 전해지던 레이첼 카슨의 마음이 동화 속 주인공과 닮아서였다. 노인이 심은 나무 한 그루에서 숲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그녀의 책 한 권으로 변화를 겪은 세상의 모습과 겹쳐져서였다.
 
이 책은 토양과 물에 뿌려진 무분별한 살충제의 남용으로 파괴되어 가는 야생생물계의 실태를 세밀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기대감은 반반이었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그만큼 재미있을까 싶다가도 몸에만 좋은 약일지도 몰라서였다. 책의 내용보다 이 점이 궁금했다. 20세기 환경학 최고의 고전이라는 유명세는 어느 쪽에 속할까.

카슨은 지구 곳곳에서 인간에 의해 자행되는 자연 파괴의 실상을 제시하고 그 원인을 거슬러 추적하며 고통받는 생태계의 모습을 파노라마처럼 보여준다. 과학적으로 면밀하게 파...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글쓰기와 말하기
68
팔로워 222
팔로잉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