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7
스물하나에 자살을 시도했다. 겁이 많아서 실패했다. 그 뒤로 나한테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알기 위해 집착하듯 책을 읽었다. 물론 자살 생각이 사라진 건 아니어서 책에 오래 집중하지 못했다. 아르바이트가 끝난 뒤부터 무기력하게 누워 있다가 겨우 몇 페이지를 읽었다.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자살 이론을 접했고, 누구도 자살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점을 배웠다. 그리고 정치를 바꿔야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도 배웠다. 자살은 절망의 증상이었고, 절망의 원인은 주로 정치였다.
사실 중학교를 다닐 때부터 정치에 관심 있었다. 서브프라임 사태가 한창이었는데, 그 영향인지는 몰라도 서먹하던 집안 분위기가 더 안 좋아졌다. 문제가 생기면 해법을 찾기 마련. 어릴 때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본 대공황 시대와 지금 상황이 비슷한 것 같아서, 공황, 경제, 자본주의 같은 단어를 인터넷에서 무작정 검색했다. 그러다가 혁명, 레닌, 마르크스를 접했다. 그 의미를 다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아무튼 자본주의 사회를 무너뜨려야 내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섣불리 믿었다.
스무살 즈음 되었을까. 역사를 공부하다가 복지국가를 접했다. 마침 인디언 기우제처럼 자본주의가 망하기를 기다리는 데에 지쳐 있었는데, 복지국가는 자본주의에 목줄을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눈 앞에 보이는...
사실 중학교를 다닐 때부터 정치에 관심 있었다. 서브프라임 사태가 한창이었는데, 그 영향인지는 몰라도 서먹하던 집안 분위기가 더 안 좋아졌다. 문제가 생기면 해법을 찾기 마련. 어릴 때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본 대공황 시대와 지금 상황이 비슷한 것 같아서, 공황, 경제, 자본주의 같은 단어를 인터넷에서 무작정 검색했다. 그러다가 혁명, 레닌, 마르크스를 접했다. 그 의미를 다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아무튼 자본주의 사회를 무너뜨려야 내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섣불리 믿었다.
스무살 즈음 되었을까. 역사를 공부하다가 복지국가를 접했다. 마침 인디언 기우제처럼 자본주의가 망하기를 기다리는 데에 지쳐 있었는데, 복지국가는 자본주의에 목줄을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눈 앞에 보이는...
무분별한 자기계발론과
자유방임주의에 맞섭니다.
법치국가와 사회연대를 결합하려는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자입니다.
더칼럼니스트 창간 1주년 기념 칼럼 공모전 당선
얼룩소 에어북 공모 1회차 선정 '함께 자유로운 나라' 출간
얼룩소 에어북 공모 6회차 선정 '좌업좌득' 출간
그러시군요. 응원합니다. 다만 비판의 지점이 명료한 것이, 자극적인 문구보다 낫다는 저의 의견은 여전힙니다.
@서형우 언쟁을 피할 생각도 없습니다. 맑스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호소하는 효과를 노린 거기도 하구요. 다른 사회주의는 가짜고, 자본가는 다 착취자고, 종교는 아편이고, 주류 경제학은 붕괴했고 등등, 다른 사람의 소중한 것을 과격하게 평가절하하는 맑시스트가 많습니다. 그들이 표현을 문제 삼는 건 내로남불이라 봅니다.
@이완 그랬다면 "마르크스는 죽었다"는 표현보다는, 마르크스 개인의 한계를 명료하게 지적하며, 그것을 통해 이후의 사회주의자가 가져야 할 태도들을 확실하게 말하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의 서술은 조금 모호하여, 한국 사회에 아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마르크스주의자들과 언쟁을 벌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마르크스주의자가 되기는 싫으나 개인적으로는 마르크주의자들의 연구는 유용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시니컬하게 세상의 변화를 바라보거든요. 저에게는 그게 오히려 마음이 편해질 때가 있고, 그리고 또 그러한 관점의 연구서를 읽는 게 많은 것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서형우 맑시스트를 설득하려는 생각은 처음부터 없었습니다. 그랬다면 처음부터 "마르크스는 죽었다"라고 쓰지 않았을 겁니다. 어디까지나 아직 맑시스트가 아니지만 사회주의자가 되고 싶은 사람을 위한 글이었습니다.
기우제 예시가 인상적입니다
기우제 예시가 인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