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일 년 내내 사과와 당근을 드실 건가요?

김형찬
2024/02/07
발도르프 교육의 창시자로 알려진 루돌프 슈타이너는 인지학의 창시자이기도 하고 농업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가 제안한 농업방식을 ‘생명역동농업’이라 부르고, 현재도 세계 각지에서 이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이 있다. 
   
다음의 내용은 그가 식물의 병에 관해 말한 것인데, 생명역동농업이 어떤 관점에서 시작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 
   
“식물 자신이 실제로 병이 드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식물은 건강한 정기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물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특히 땅은 병들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흔히 일컫는 식물병에 대한 원인은 식물을 둘러싸고 있는 전체 환경과 땅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자연과 사람을 되살리는 길, 변종인 옮김, 정농회 -

슈타이너(Rudolf Steiner) 오스트리아 태생의 과학자·편집인·인지학 창시자. ⓒ GS /wikipedia | Public Domain
 
슈타이너의 이런 관점은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고, 병의 원인을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의 부조화에서 찾는 한의학적 관점과 맞닿아 있다. 
   
위에 인용한 책은 1924년 슈타이너가 독일의 농부들을 대상으로 한 농업강좌를 정리한 것이다. 책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담겨 있다. 
   
정신 수양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실제 정신 경험에 이르기가 어렵고, 머리로는 이해해도 실천에 옮기는 의지가 왜 그렇게 미약한가 하는 질문에 슈타이너는 다음과 같이 답한다. 
   
“이 문제는 사람들이 어떤 것을 먹느냐에 달려 있다. 오늘날 사람들이 먹는 것은 정신을 물질에까지 나타나게 하는 힘을 사람에게 전혀 줄 수 없다. 생각하는 것을 실제 행동으로 옭기는 마음을 내기가 어렵다. 요즈음 사람들이 먹는 곡식이나 채소 안에는 사람이 필요로 하는 기운이 들어 있지 않다.”   

암모니아합성에 성공하면서 화학비료의 시대가 열린 것이 1915년 이었고, 질소비료로 대표되는 화학비료의 생산과 함께 식량 대량생산...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김형찬
김형찬 인증된 계정
한의사
환자를 돌보면서 뜻하지 않게 오래 살게 된 현대인의 건강에 대해 고민합니다. 건강의 핵심은 일상생활에 있고, 그 중심에 몸과 정신의 움직임 그리고 음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활한의학이란 주제로 지속 가능한 건강과 세상에 관한 이야기들을 나누려고 합니다.
131
팔로워 223
팔로잉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