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락(喜樂)을 통한 삶의 애환(哀歡) 해소

칭징저
칭징저 · 서평가, 책 읽는 사람
2024/05/14
콩쥐팥쥐(정용현 화백 그림)
희락(喜樂)을 통한 삶의 애환(哀歡) 해소

우리 문학의 정서와 미학을 찾기 위해서는 우리 민족이 우리 문학을 어떠한 방식으로 향유했고 또 어떠한 기능을 했는지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시를 짓고 노래하고, 소설을 쓰고 읽고, 또 직접 이야기를 하고 듣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문학을 향유한다. 그렇다면 우리 선조들이 향유했던 문학은 그들의 삶 속에서 어떤 기능을 했을까?
   
1) 삶의 애환과 해소 

콩쥐 팥쥐전에서 콩쥐는 계모로부터 억압을 받지만 결국에는 고통스런 삶으로부터 해방되고 행복을 되찾게 된다. 이 서사 구조 속 콩쥐와 같이 계모로부터 고통 받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콩쥐 팥쥐전을 읽는 다면 그가 현실에서 받는 고통을 조금이라도 해소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번에는 콩쥐 팥지전의 서사 구조를 다음과 같이 더 넓은 구조로 파악해 보자.

우리 선조와 문학의 관계를 이해한다면 우리 문학이 어떤 기능을 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선조들은 우리가 고전이라 부르는 문학을 향유하며 그들의 현실 삶으로부터 받는 애환과 고통을 해소했던 것이다. 이는 단연 콩쥐팥쥐만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다른 작품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2) 희락(喜樂)

앞서 밝혔듯이 콩쥐 팥쥐 이야기는 서양의 신데렐라 이야기의 서사 구조와 매우 흡사하다. 또 신데렐라 이야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서양 여러 나라에서 존재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에서도 그 나라의 문학을 통해 그들의 삶의 애환을 해소했다고 볼 수 있는데 ‘애환의 해소’라는 기능적인 면에서 우리 문학 고유의 정서와 미학을 찾을 수 있을까? 물론 우리 문학의 기능만을 살펴보면 다른 나라와 차별화된 특유의 정서와 미학은 찾기 힘들다.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우리 문학 작품 속에서 볼 수 있는 표현방식을 살펴보아야 한다. 즉, 기능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양상, 다시 말해 방법론적인 측면에 대한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정민, 책을 읽고 글을 씁니다.
276
팔로워 555
팔로잉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