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환
40대 남
What Constructor Theory reveals about Deep Learning
What Constructor Theory reveals about Deep Learning
(W)hat should be built in, as their complexity is endless; instead we should build in only the meta-methods that can find and capture this arbitrary complexity. Essential to these methods is that they can find good approximations, but the search for them should be by our methods, not by us.” — Richard Sutton
What is an explanation? I’ve been beating around the bush around this for quite some time. Peter Sweeny wrote an article about AI inevitability where he wrote that “explanations are th...
Symbolic Mathematics Finally Yields to Neural Network
Symbolic Mathematics Finally Yields to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s have a reputation for being better at solving statistical or approximate problems than at performing calculations or working with symbolic data.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y can be surprisingly good at more elaborated tasks in mathematics, such as symbolic integration and solving differential equations. We propose a syntax for representing mathematical probl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large datasets that can be used to train sequence-to-sequence models. We achieve resu...
[이론으로 조망하는 생명현상] 전체론적 생명관 : 가이아 가설과 온생명 이론 출처: [BRIC Bio통신원] [이론으로 조망하는 생명현상] 전체론적 생명관 : 가이아 가설과 온생
[이론으로 조망하는 생명현상] 전체론적 생명관 : 가이아 가설과 온생명 이론 출처: [BRIC Bio통신원] [이론으로 조망하는 생명현상] 전체론적 생명관 : 가이아 가설과 온생
부분과 전체
생명체나 생태계와 같이 복잡한 대상을 보다 단순한 요소들과 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접근 방식, 즉 방법론적 환원주의 또는 단순히 환원론이라 불리는 관점은 데카르트와 뉴턴 이래 근대 과학의 토대를 이루는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실상 근대적 사고의 핵심이기도 하다[1]. 이러한 까닭에 현대에 이르러서는 주로 예술이나 인문학에서 환원주의를 탈근대를 위한 극복 대상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특히나 자연과학에서는 현재까지 축적된 거의 모든 지식이 환원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환원주의적 관점을 배제한 과학이란 상상하기 어렵다[2].
출처: [BRIC Bio통신원] [이론으로 조망하는 생명현상] 전체론적 생명관 : 가이아 가설과 온생명 이론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47591 )
타인을 공감하는 뇌 신경회로 원리 규명 출처: [BRIC Bio통신원] 타인을 공감하는 뇌 신경회로 원리 규명
타인을 공감하는 뇌 신경회로 원리 규명 출처: [BRIC Bio통신원] 타인을 공감하는 뇌 신경회로 원리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