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영 "한국 문화의 트렌드를 꿰뚫는 단어는 OO"

문소영
문소영 인증된 계정 · 문화전문기자, 작가
2024/04/15
문소영 『혼종의 나라』 저자 (사진 : 본인 제공)

『혼종의 나라』는  예술이 우리의 일상과 교차하는 지점을 읽어 온 문소영 문화저널리스트가 한국 문화를 ‘혼종’이라는 콘셉트 아래 7개의 키워드로 구분해 바라본 책이다. 문소영 작가는 개인과 세대, 나아가 우리 사회와 전 세계가 열광하는 한국의 문화의 트렌드를 꿰뚫는 하나의 단어로 ‘혼종hybrid’을 꼽는다. 탈식민주의 학자 '호미 바바'는 제국의 영향을 받은 식민지 문화가 다양성과 잠재력을 키워 결국 문화 권력을 전복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데 이 개념을 사용했는데, 문소영 저자는 이를 한국 문화를 관통하는 핵심으로 소환해 우리를 둘러싼 사회 곳곳의 문화적 현상을 명쾌하게 분석해낸다.
 
<얼룩소>에서 문소영 작가를 서면으로 만났다. 



📌 대체 왜 이토록 유행할까 


예술, 그림에 관한 책을 주로 써오셨어요. '혼종'을 주제로 책을 쓰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을까요? 

처음부터 혼종에 대한 글을 쓰려고 했던 건 아니었어요. 다양한 문화로 드러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쓰다 보니 그것들이 모두 혼종성을 갖고 있다는 걸 나중에 깨달았죠. 『혼종의 나라』의 가제는 이 책의 바탕이 된 신문 연재물의 제목인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였어요. 다소 무미건조한 제목이라서 뭔가 강렬한 제목을 찾았는데 제 글 대부분이 결국 혼종성에 대한 이야기더라고요.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K컬처는 물론이고 우리가 ‘전통’이라고 여기는 것들도 실은 서구화, 근대화의 영향과 결합해서 혼종성을 띠는 것이 많아요. 제 글은 그걸 파헤친 게 많고요. 또 ‘돈 자랑으로 돈벌이’하는 유튜브 콘텐츠라든가, 가족 ‘손절’과 가족 보존의 충돌하는 욕망을 담은 회빙환(회귀 빙의 환생) 웹 소설, TV리얼리티 쇼, 법 제도라든지, 많은 이야기들이 유교적, 공동체주의적 가치관과 개인주의적 · 자유주의적 가치관이 혼재하고 충돌하는 상태에서 나왔더라고요. 한국에서 개인주의 · 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퍼진 건 산업화와 민주화가 완수 된 1990년대부터인데요. 그때의 10대. 20대였던 X세대가 본격적으로 혼종화 되기 시작한 세대죠.

그래서 X세대인 제 문화 사회 분석 글들의 특징이 결국 ‘혼종성’으로 수렴된다는 걸 깨닫게 됐어요. 이런 이야기를 편집자님과 하다가 『혼종의 나라』라는 제목이 튀어나왔어요. 저와 편집자님은 무척 마음에 들었는데, 출판사 내에서는 ‘끔찍한 혼종’이 생각난다며 꺼려하는 분도 계셨어요. 하지만 이 제목이 정말 좋아서 고집했습니다. (웃음)

문화를 주제로 꾸준히 칼럼, 에세이를 쓰고 계시죠. 글의 주제는 어떻게 찾는 편이신가요?

나를 둘러싼 문화 속에서 흥미가 생기거나 반대로 묘하게 신경을 긁는 존재에 대해 글을 쓰게 됩니다. 이를 테면 왜 의절, 절연, 절교란 말이 이미 있는데 요즘은 그 말들을 놔두고 주식 용어인 ‘손절’이란 말을 주로 쓰는가. 또 ‘주변 사람 손절’에 대한 조언이나 상담을 해주는 유튜브 콘텐츠가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가. 게다가 ‘회빙환’ 웹 소설도 대부분 결국 자기 발목 잡는 사람들과 ‘손절’하는 이야기더라고요. 이런 콘텐츠가 길거리 스낵처럼 자극적이고 중독적인 맛이 있으면서 또 한편으로 비슷비슷한 내용이 대량 생산되는 게 거부감도 드는데요. 대체 왜 이토록 유행하고 또 이토록 내 신경을 자극할까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되더라고요.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문화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책 『혼종의 나라』(2024) 『광대하고 게으르게』(2019) 『명화독서』(2018) 『그림 속 경제학』(2014) 등을 썼습니다. 중앙일보 중앙선데이 소속.
1
팔로워 13
팔로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