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에 눈이 먼 수리남의 권력자들
2023/03/13
수리남의 마약밀매를 다룬 넷플릭스 시리즈는 수리남 정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가이아나와 프랑스령 기아나 사이에 위치한 이 작은 국가는 항상 언론의 관심 밖에 있었다. 그런데도 수리남의 금광은 오랫동안 다국적 기업들의 관심사였으며, 분쟁을 고조하기도 했다. 1986~1992년 전쟁으로 분열된 남미 국가, 수리남은 일어서려 애쓰고 있다.
달처럼 황량한 풍경이다. 여기 말로 하면, 열대림은 ‘망가졌으며’ 곳곳에 구멍이 뚫린 백악질의 토양으로 변했다. 뙤약볕에 두건을 쓰고 긴 소매 옷, 짧은 가죽 바지를 입은 약 30명의 인부가 10m 깊이의 구덩이 속에서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다. 그들은 파이프를 온 무게로 받치고 있고 파이프에서 강하게 솟아나온 물은 땅을 하얀 진흙으로 만들어버린다. 좀 더 멀리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마침내 물이 고인다. 이상한 터키블루 색이었다. 전쟁이 아니었다면, 보케 A는 이곳에 있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존 열대우림 한복판에 있는 이 금 채굴장의 반장인 보케 A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아마, 전기기사가 될 수도 있었겠죠.”
수리남 전쟁(1986~1992)이 일어난 1986년, 11세였던 그는 게릴라 병사가 돼 정부군과 맞서 싸웠다. 그는 가족과 함께 살던 마로니(Maroni) 강둑 마을에서 도망쳐 국경을 가르는 강 반대편에 있는 프랑스령 기아나의 난민수용소로 갔다. 수리남에 되돌아왔을 때는 학업 시기가 지나버렸다. 그런 그에게 금 채굴은 생계수단이었다. 그 지역의 다른 청년들도 마찬가지였다. 구덩이에서 하는 작업이 가장 고되고 위험하다. 채굴장 관리를 맡기기에 앞서 자기 눈으로 구덩이를 한 번도 보지 못한 투자자들도 있었을 것이다.
보케 A의 삶을 보면, 수리남은 1980년대에 머물러 있다.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수리남은 남미에서 국토 면적이 가장 작으며, 인구는 60만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르몽드의 대표적인 자매지로 약칭은 "르 디플로"입니다. 국제뉴스를 다루는 월간지로 30개 언어로 51개 국제판이 발행되고 있다. 조르조 아감벤, 아니 에르노, 알랭 바디우, 슬라보예 지젝, 피에르 부르디외 등 세계적 석학들이 즐겨 기고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어판이 2008년10월부터 발행되어 우리 사회에 비판적인 지적 담론의 장으로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노엄 촘스키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를 일컬어 "세계를 보는 창"이라고 불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