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가족 해체를 막는 최후의 방어선

박재용
박재용 인증된 계정 · 전업 작가입니다.
2023/02/23
반지하는 얼마나 되나

반지하에 살아보신 적이 있나요? 대부분 오래된 건물에 있지요. 낮에도 햇빛이 잘 들지 않아 전등을 켜놔야 하는 곳, 습기가 차고, 벽지 뒤로, 장판 밑으로 곰팡이가 잔뜩 끼어있는 곳, 지면 바로 위의 창은 거의 대부분 닫혀있습니다. 창 바깥에 차단막을 설치하기도 하죠. 여름이 되면 침수가 잦은 곳. 조금만 비가 많이 와도 통로를 통해 물이 밀려들어오는 곳. 반지하 혹은 지하에 거주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서울시
서울이 전체의 2/3 가량을 차지하고 나머지도 대부분 광역시에 있습니다. 거주 이유는 간단합니다. 보증금과 월세가 싸기 때문이지요. 방 두칸에 화장실과 부엌 정도가 있는 경우 보증금 백1천만원에 월세 30~40만원 가량 내면 됩니다. 만약 1층이나 2층에 이 정도면 최소 50만원 이상을 줘야 가능합니다. 방 한 칸이면 월세는 20~30만원 정도가 됩니다. 위로 올라가면 최소 40만원 정도가 됩니다. 물론 이 또한 다세대 주택에 한한 이야기입니다. 신축 건물의 원룸이나 투룸은 월세가 더 세지요. 
   
월세로만 따지면 쪽방이나 고시원 그리고 구도심에 있는 낡은 여관과 비슷합니다. 다만 보증금이 천만 원 정도 있을 뿐이지요. 결국 반지하는 ‘주택이 아닌 거처’로 밀려나기 전 마지막 보루와 같은 곳입니다. 또 가족이 거처가 없어 해체되는 일을 막는 방어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월세가 이리 싸다는 건 반대로 그만큼 거주 환경이 열악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반지하와 지하 공간에 대해 알아봅니다. 
   
전국적으로 반지하는 전체 주거 중 1.4%를 차지하고 지하는 0.2%를 차지합니다. 지역으로 보면 서울이 단연 비율이 높습니다. 반지하는 4.4% 지하는 0.6%입니다. 서울 인구가 대한민국 전체의 약 1/5인 걸 감한하면 전체 반지하의 62%가 서울에 있는 셈입니다. 지하도 전국의 60%가 서울에 있습니다. 서울에 유독 지하나 반지하가 많은 이유...
박재용
박재용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과학과 사회가 만나는 곳, 과학과 인간이 만나는 곳에 대한 글을 주로 썼습니다. 지금은 과학과 함께 사회문제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한 글을 자주 쓰고 있습니다. 출간된 책으로는 '불평등한 선진국',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통계 이야기',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웰컴 투 사이언스 월드', '과학 VS 과학' 등 20여 종이 있습니다.
93
팔로워 662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