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질서의 미래: 핵무기와 균형, AI기술과 사이버공간

드라이트리
드라이트리 인증된 계정 · 기술과 시사를 읽어드립니다
2023/11/14
* 본 글은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의 저서 <헨리 키신저와 세계질서(Henry Kissinger World Order)>(2014)을 읽고 쓴 서평입니다.


현대적인 국제 정치 질서의 시작: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조약

현재 우리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국제 정치 질서(international political order)는 주권 국가들이 모여 여러가지 전 지구적 문제들에 대해 다원적 질서를 구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권 국가의 개념은 1618~1648년 벌어진 30년 전쟁 이후 수립된 베스트팔렌 조약에서 시작되었다. 자국 영토에 대한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을 통해 '국가'라는 단위(unit)가 국제 질서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과 의미를 갖게 되었다. 물론 이 시기 중국과 이슬람 지역에서도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나름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었다. 현재 국제 정치 무대에서 일반적으로 국가는 하나의 군집된 집단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하나의 단위로서 학계에서 분석되고 있다.


세력균형과 국제질서

근대 이후의 국제 질서에서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가 세력 균형(balance of power, BOP)이다. 이는 새로운 체제와 질서가 수립되었을 때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또는 한 국가 세력들이 다른 국가 세력들을 예속하지 못하게 제한을 가하여 균형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세력균형이 전쟁을 전적으로 막아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세력균형을 통해 전쟁을 통한 폭력의 규모를 제한시키고, 국제질서와 체제에 대한 도전의 성공 가능성을 낮춰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국제 정치에서 힘(political power)의 논리는 결코 무시할 수 없으나, 그에 못지않게 여러 국가들의 역사적 경험과 가치를 질서로 만들어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질서의 유지를 위해서는 힘의 논리만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며, 세력 균형 속에서 '동반자(partnership)'라는 접점을 찾고자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힘과 동반자라는 개념이 함꼐 녹아져 있는 것이 세력균형이다.

미국은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기술과 세상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79
팔로워 49
팔로잉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