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없이 찾아가라! 정부24 마비, 문제는?

alookso콘텐츠
2023/11/19


📝 에디터노트
지난 17일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가 장시간 마비됐습니다. 사실상 공공기관의 민원서류 발급 서비스가 모두 중단된 것인데요. 하루가 지난 18일에야 '정부24'는 임시 복구 됐고 공무원 전산망도 일부만 복구됐습니다. 정부는 사흘 째인 19일, 전산망 마비 원인은 '네트워크 장애' 라고 밝혔는데요. 국가 행정 전산망이 통째로 먹통이 된 상황, 원인 파악과 복구까지 왜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걸까요.

한국전산학박사1호인 문송천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는, 이번 사태를 '데이터 관리'의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그에게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물었습니다.


ⓒ연합뉴스





💬 이번 국가 행정망 마비의 원인은 뭔가요? 행정안전부는 ‘네트워크 장비(L4스위치) 이상’을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밝혔습니다.

눈 가리고 아웅하는 거에요. 하나의 장비 문제가 아니에요. 장비는 이미 이중화, 삼중화 돼 있기 때문에 한 군데서 문제가 생기면 다른 데가 위험해지는 거고. 근본적인 건 100% 데이터의 문제에요. 데이터의 물리적인 통합 설계가 전혀 돼 있지 않아서, 시스템과 데이터들이 200~300개로 분절돼서 각각 격납고처럼 따로 돌아가고, 따로 유지보수되고 있어요. 그 각각의 개발업체도 다 다르고, 설계 체계도 다 다르죠. 행안부, 국방부, 보건복지부, 법무부 다 마찬가지에요. 국가 시스템망이 먹통이 되는 건 데이터가 분산 단절됐기 때문입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405
팔로워 2.9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