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 시니어를 잘 활용하려면: 뽑기보다 훨씬 어려운 잘 쓰기!

SSOO
SSOO · 작은 회사를 변화시킵니다
2023/06/21
브런치 탐험 중 아래 글을 읽다 나도 모르게 격렬히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다.
덧붙여 나도 주절주절. 겸사겸사 첫 브런치 글을 적어본다.

현직장에 있으면서 운이 좋았다 싶은 순간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고객사 대표님들의 말씀 들을 기회가 제법 있었다는 거다. 

스타트업의 시니어나 주니어분들도 가끔 내게 고민상담을 하거나(인사담당자에게 커리어를 논의하면 정답이 있는 줄 아시는 경향이 있지만 제 코가 석자입니다^^;;) 그냥 편하게 이야기할 기회가 꽤 있었는데 경영자와 시니어, 주니어 각각의 입장에서 시니어에 대한 인식을 이야기 하는 게 다 달라 흥미롭게 듣곤 했다.
각자의 상황이 모두 다르지만 그나마 공통적으로 듣던 얘기들은 아래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을 듯 하다.

* 나의 좁디 좁은 경험에 한하고, 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출신 시니어 이야기이다. 내게 컨텍할 때도 대기업과 스타트업 차이는 무엇인지, 어떤 시행착오를 겪는지 등을 궁금해 하기 때문일 거다. 또한 긍정적 측면은 별개로 가장 많이 듣는 불만에 관한 이야기이다. (설마 내가 모든 시니어를 이유 막론하고 존중하자 한다 생각하진 마시길)

1. 대표
시니어 영입에 공을 들이고 의지하고 역할을 나누고 싶어 한다. 그들의 경험으로 빠르게 조직을 안정화 하고 체계를 잡고 싶어 한다. 삼고초려해 영입하나 함께 일하다 보면 불만이 생긴다. (자꾸 반대한다거나, 사사건건 가르치려 하는 것 같다거나) 어느 순간 시니어들은 이래서 안 되고, 이런 게 문제고.. 화룡정점은 특히나 대기업 출신 시니어들의 문제로 수렴된다.

2. 시니어
나름 시니어급까지 큰 조직에 있다가 스타트업으로 나올 땐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경험을 십분 발휘해 포지션을 보장 받고 권한을 가지며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충만함으로 무장한다. 그들이 스타트업을 만만히 보거나 무조건 나오면 C-Level을 당연 시 한다거나 하진 않는다 믿는다. 그런 걸 단순 권위나 권력이라기 보단 권한을 가지고 주도하고 싶어 합류한다고 봐...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컨설팅, 개인사업, 교육회사, 제조 대기업, 핀테크 스타트업을 거쳐 현재는 뷰티업에서 조직운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구조를 짜고 만들어갑니다.
5
팔로워 0
팔로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