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된 장애청년이 지역사회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은?

흥진 · 사회복지, 비영리, NGO
2023/05/31
지역사회 안에서 엄마가 된 장애 청년을 돕는다고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아무래도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이다. 그 주민센터에서 연결해 준 “시청 무한돌봄” 사회복지사와 교회 지인으로 인연이 된 나의 "장애 청년과 그 아기 돕기"가 본격 시작되었다. 

어렵게 어린이집을 연결하고, 시간제 아이돌봄도 연계를 해놨는데 아기가 덜컥 병원에 입원하여 수술을 하게 되었다. 아기는 태어날 때 무호흡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2주 넘게 있었고 겨우 살아났으나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사 소견을 받았다. 뇌에 산소가 어느 정도 안 갔는지 추측할 수 없었고, 뇌가 제대로 성장할지 모르겠다는 거였다. 생후 3개월간은 매달 뇌초음파를 찍었다. 그 후에는 6개월 때 다시 오라고 했는데, 그 6개월 초음파에서 뇌수가 많이 차서 뇌성장을 방해하므로 뇌에 관을 삽입해서 몸으로 빼주는 수술을 하게 되었다. (수술비 스토리 https://alook.so/posts/70tmwo2?utm_source=user-share_BetkQQ )

아기가 일주일가량 입원해있었는데, 그때 병원의 의료진들이 장애를 가진 청년이 혼자 아기를 돌보는 것을 아주 눈여겨보았던 것 같다. 연고자가 없다고 하니 가끔 찾아가 도와주는 우리 교회 교인들을 붙잡고 얘기하거나 전화해서 걱정을 했다. 
담당 간호사실에서는 “저 청년이 혼자 아기를 본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신 것 같다. 퇴원하는 날 시설이 아닌 그냥 집으로 간다니까 깜짝 놀라며 그렇다면 아기 상처가 더 아물고 퇴원을 해야 한다며 퇴원이 연기되었다. 입원기간동안 병원에서 살펴본 장애 청년의 문제는 이런 거였다.
  • 장애 청년은 흔들어 깨워도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깊이 잠을 자고 길게 잠을 잔다. 자느라고 시간맞춰 아기 분유나 이유식을 주지 않는다. 
  • 이유식이 상했는데도 모르거 주거나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회복지 분야에서 20년 넘게 일했고, 일하고 있습니다. 비영리, 시민사회쪽에서도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고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일을 좋아합니다.
8
팔로워 44
팔로잉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