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리더의 실패가 흔한 이유
2023/06/21
부제: 리더의 사후 수습보다 조직의 준비가 먼저다
"있으나 마나한 무능한 팀장때문에 내가 실질적인 팀장 역할을 해왔다" 하는 이들을 흔하게 본다. 핵심인재라 육성되고, 공공연히 차기 리더로 인식되거나 가장 전문가라 하는 이들이 주로 해당된다.
막말로 "내가 발로 해도 저 인간보단 잘하겠다"하던 이들도 팀장 첫해엔 온갖 멘붕과 시행착오를 겪는다. 바라던 리더 자리였건만 왜 이리 회의는 많고, 왜 이리 이슈는 많으며 나를 치켜 세우던 임원이 나를 갈구기 시작한다. 심지어 어제까지 나와 함께 욕하던 팀원들에게서 거리감이 느껴진다.
생전 일 못한단 말은 커녕 일 잘한다는 말을 듣고 살았는데, 그래서 이 자리에 올라왔건만 긴장되고 정신이 없는 일상이 반복된다.
"원래 처음엔 다 그래."
사람들이 '그래 너 못해, 힘들지? 근데 다 그래'란 많은 게 함축된 격려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 배려와 이해의 기간이 짧고 피드백도 혹독하다.
그래서인지 책부터 아티클까지 신임 리더를 위한 많은 조언들을 정리해 둔 참고 자료들이 차고 넘친다.
공통적인 내용은 처음 리더가 되었을 때 흔한 조급함과 그로 인한 실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성과를 내는 팀을 만들 것인가에 관한 매니지먼트 스킬이다. 신임팀장이 되면 교육이나 기타 필독서로 내주기도 하는.
초임 리더는 기대 반 걱정 반, 그리고 넘치는 의욕만큼 이런 책을 읽으며 말 그대로 '글로 배운 걸' 그대로 쓰다 낭패도 겪는다.
그러나 여기서 드는 딴지.
너무 리더 개인의 역량과 문제로만 돌린다는 느낌이 불편한 건 기분 탓일까. 보통 조직에서 제일 잘한다는 사람이 연차가 차면 2인자에서 리더가 된다. 상사가 유능하면 유능한 대로 커리어에 고속도로를 타고 무능하면 무능한 대로 없어서는 안될 핵심 직원으로 존재감을 콱 박은 이들이. (실력 없고 정치질 한다는 사람이 된다더란 말도 많이 듣는데 어쨌든 그들도 누군가의 오른팔) 육성체계와 프로그램이 좀 갖춰진 회사라 하면 팀장이 아니...
컨설팅, 개인사업, 교육회사, 제조 대기업, 핀테크 스타트업을 거쳐 현재는 뷰티업에서 조직운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구조를 짜고 만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