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을 뒷받침하는 패키징, 어디까지 왔나

바이라인네트워크
바이라인네트워크 인증된 계정 · 기술과 디지털 비즈니스를 다룹니다.
2022/10/12
IT 기술의 발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 반도체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방법, 하면 7나노 미만의 미세 공정을 떠올리곤 한다. 그간 언론에서도 7나노 미만 반도체에 대한 이야기를 다수 해 왔으며, 현재 TSMC와 삼성전자가 나노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노 공정 못지 않게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있지만, 미세공정만큼 큰 주목을 받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관심도가 낮을 뿐더러 내용 자체가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 딥다이브에서는 패키징이 왜 반도체 업계에서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얼마나 얼마나 큰지, 국내 패키징 지원 현황과 개선점 등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출처: 픽사베이)


패키징, 앞으로 더 중요해진다

반도체는 8대 공정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먼저 반도체의 기반이 되는 웨이퍼를 만들고, 그 위에 수증기를 뿌려 절연막 역할을 하는 실리콘 산화막을 만든다. 이를 산화공정이라 한다. 그 위에 빛이 닿으면 성질이 변하는 감광액을 바른 후 빛을 쏴 설계도대로 회로를 그려 넣는 포토 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빛을 받은 회로 패턴만 남기고 나머지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식각공정과 웨이퍼 위에 박막을 입히고 전기적 특성을 가지게 하는 증착이온주입 공정도 해준다. 이 과정까지를 전공정이라 한다.

이후에는 반도체 회로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구리와 같은 금속선을 연결하는 금속배선 공정과 품질 테스트를 위한 EDS(Electrical Die Sorting) 공정을 마친다. 테스트까지 마친 반도체는 마지막에 패키징 공정을 거쳐 사용된다. 패키징 공정은 완성된 웨이퍼 중 정상 작동하는 여러 종류의 칩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회로를 보호하도록 포장하는 과정을 말한다. ▲금속배선 공정 ▲EDS 공정 ▲패키징 공정을 통칭해 후공정이라 하고, 우리가 흔히 보는 반도체는 이 모든 과정을 거쳐 나온 제품이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전공정을 중심으로 발전해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도 전공정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해 왔다. 후공정 사업 자체가 외주를 받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하청업’같은 인식이 업계에 만연해 있었던 것이다. 후공정 처리는 중국이나 대만에 위탁하곤 했다.
바이라인네트워크
바이라인네트워크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