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의 현실 왜곡장은 어떻게 태어났는가

이요훈
이요훈 인증된 계정 · IT 칼럼니스트
2024/03/20
스티브 잡스에 대한 영화는 벌써 3편이 만들어졌다. 별 내용이 없었던 2013년판 '잡스'와 아론 소킨이 대본을 쓴 2015년판 '스티브 잡스', 그리고 다큐멘터리 '스티브 잡스 : 맨 인 더 머신'.

나라면? 아예 SF형식을 빌려 잡스가 전개하는 “현실 왜곡장(reality distortion)”에 대해 진지하게 다뤄보고 싶다. 현실 왜곡장. 잡스가 말하면 별 것 아닌 제품조차 혁신적인 제품으로 여겨지게 만든다는 그 신비의 마법.

Steve Jobs with his MacBook Air at Macworld 2008.


카리스마 리더의 뒤에 감춰진 것

스티브 잡스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흔히 꺼내는 단어도 이 ‘현실 왜곡장’이다. 한 마디로 스티브 잡스는 훌륭한 마케터일 뿐 진짜 혁신적인 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말은 스티브 잡스의 주변 인물에게서 나왔다. 원래는 미국 SF드라마 ‘스타트렉’에서 쓰이는 단어로, 애플의 매킨토시 개발자였던 버드 트리플이 잡스를 평가하면서 사용해 유명해진 말이다.

누구에게 나왔건, 이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하나다. 잡스의 지지자이건 비판자이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것, 바로 잡스의 카리스마다. 스티브 잡스는 ‘현실왜곡장’을 느끼게 할 정도로 타고난 카리스마를 가지고 사람을 설득하는 능력이 있었다. 그렇지만 잡스가 원래부터 그렇게 카리스마 있는 리더였을까.

잡스가 어린 시절부터 남의 관심을 끌기 좋아하는 시끄러운 아이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 버릇은 나이 들어도 사라지지 않아서 대학에 잠시 머물렀을 때조차 괴짜로 이름을 날렸다. 사망하기 몇 달 전까지 공식적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자리에 항상 머물러 있고 싶어 했던 이가 바로 잡스다.

왜 그랬을까? 어린 시절 경험이 그를 그렇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스스로 요란을 떨면서 나 좀 봐주세요-하지 않으면 아무도 봐주지 않는 가난한 집의 아이, 그것이 어린 시절의 잡스였다. 똑똑하고 호기심이 강했지만 그런 잡스를 돌봐주는 이는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디지털로 살아가는 세상의 이야기, 사람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IT 산업이 보여 주는 'Wow' 하는 순간보다 그것이 가져다 줄 삶의 변화에 대해 더 생각합니다.
19
팔로워 41
팔로잉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