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불량품입니까 - ①투명인간이 보일때 생기는 일

김양균
2023/08/31
나는 불량품입니까-프롤로그

영화 <아마데우스>(1984·밀로스 포만)는 자살을 시도하던 노인이 정신병원에 실려 오면서 시작된다. 노인은 전 궁중 음악사였던 살리에리였고, 모차르트에 대한 자신의 질투와 죄를 고백했다. 모차르트의 신들린 연기보다 내 시선을 잡아챈 부분은 따로 있었다. 그건 영화 속 정신병원의 기괴한 풍경이었는데, 특히 영화 말미 휠체어를 탄 살리에리가 독백을 하는 장면은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영화는 정신질환자의 모습을 매우 기괴하고 그로테스크하게 묘사했다. 좁은 철창에서 알 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거나 흉측하고 불안정한 눈빛의 인간. 그 모습은 흡사 야수처럼 느껴졌다. 물론 인간의 이기심과 욕망이 그 인간을 어떻게 파괴하는지를 보여주는 영화적 연출이었겠지만, 유년시절 내게 각인된 이 정신병원과 그 안의 사람들에 대한 감정이란, ‘불편함’이었다. 

처음의 불편함은 시간이 흐르면서 궁금증으로 바뀌어갔고, 관심의 대상은 정신병원뿐만 아니라 그 안의 의료진과 정신질환 당사자에게까지 확장되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정신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또 있었다. 기자 초년병 시절 만났던 적지 않은 이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저...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김양균
김양균 인증된 계정
의학기자
여러 의미의 건강에 대해 쓴다. 전자책 <팔레스타인의 생존자들>, <의사 vs 정부, 왜 싸울까?>, <결말을 알고 있는 이야기>를 썼다.
45
팔로워 1.2K
팔로잉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