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크선이란 무엇인가? ③ 선형별 선복량, 노후선대, 발주 잔량 중심으로

아웃라이어
아웃라이어 · 해운 전반 시황/트렌드 소개
2023/01/15
안녕하세요,

벌크선 개요의 마지막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펀더멘털의 기본인 수요(물동량)와 공급(선복량) 중에서 수요는 첫 번째 챕터에서 어느 정도 다루었기에, 이번 편은 공급 중심으로만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한 가지 짚고 넘어가자면, 공급 = 선복량이라고 적었는데요,
 선박의 Capacity선복량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즉, 선박이 싣고 다닐 수 있는 총 물동량이기에 업계에서는 공급을 얘기할 때, 선박이라는 단어보다는 선복량으로 표현을 합니다.

글로벌 선복량 추세부터 점검하며 시작하겠습니다.


1.    건화물선 선복량 추이
저자 작성
전 세계 벌크선 선대 현황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파란색 막대 그래프는 연도별 벌크선 전체 선복량이고, 주황색 선은 연도별 증감율(%)로 보면 됩니다. 

눈에 띄는 점은 1) 98년도에 한 번 역성장(-0.2%)을 제외하고는 매해 +증가를 하고 있는 점 2) 2000년대 중반은 5%, 2000년대 말에는 무려 1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2010년 중반 이후로는 연평균 성장률은 약 2.7%에 그치고 있는 점입니다.

특히, 2008년도에 BDI 역사상 최고점을 찍은 전후로 해운 선사들은 매출 순위 경쟁에 휩쓸렸으며, 경쟁적으로 발주한 선박은 결국 2009년(10.6%), 2010년(17.1%), 2011년(14.8%), 2012년(10.6%)을 지나며 공급 과잉을 일으켰으며, 이는 2016년 BDI 최저점을 찍게 되는 큰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현재 선형별 선복량 구분
저자 작성
재화중량톤수(DWT) 기준으로 선형별 선복량을 살펴보면, 2024년 예상치로 케이프는 3억 9천만DWT, 파나막스는 2억 5천만 DWT, 수프라막스는 2억 3천만 DWT...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해운/조선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트렌드 분석/관점을 공유하고 많이 소통하고 싶습니다
26
팔로워 122
팔로잉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