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크선이란 무엇인가? ③ 선형별 선복량, 노후선대, 발주 잔량 중심으로
2023/01/15
안녕하세요,
벌크선 개요의 마지막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펀더멘털의 기본인 수요(물동량)와 공급(선복량) 중에서 수요는 첫 번째 챕터에서 어느 정도 다루었기에, 이번 편은 공급 중심으로만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한 가지 짚고 넘어가자면, 공급 = 선복량이라고 적었는데요,
선박의 Capacity를 선복량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즉, 선박이 싣고 다닐 수 있는 총 물동량이기에 업계에서는 공급을 얘기할 때, 선박이라는 단어보다는 선복량으로 표현을 합니다.
선박의 Capacity를 선복량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즉, 선박이 싣고 다닐 수 있는 총 물동량이기에 업계에서는 공급을 얘기할 때, 선박이라는 단어보다는 선복량으로 표현을 합니다.
글로벌 선복량 추세부터 점검하며 시작하겠습니다.
1. 건화물선 선복량 추이
전 세계 벌크선 선대 현황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파란색 막대 그래프는 연도별 벌크선 전체 선복량이고, 주황색 선은 연도별 증감율(%)로 보면 됩니다.
1. 건화물선 선복량 추이
눈에 띄는 점은 1) 98년도에 한 번 역성장(-0.2%)을 제외하고는 매해 +증가를 하고 있는 점 2) 2000년대 중반은 5%, 2000년대 말에는 무려 1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2010년 중반 이후로는 연평균 성장률은 약 2.7%에 그치고 있는 점입니다.
특히, 2008년도에 BDI 역사상 최고점을 찍은 전후로 해운 선사들은 매출 순위 경쟁에 휩쓸렸으며, 경쟁적으로 발주한 선박은 결국 2009년(10.6%), 2010년(17.1%), 2011년(14.8%), 2012년(10.6%)을 지나며 공급 과잉을 일으켰으며, 이는 2016년 BDI 최저점을 찍게 되는 큰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현재 선형별 선복량 구분
재화중량톤수(DWT) 기준으로 선형별 선복량을 살펴보면, 2024년 예상치로 케이프는 3억 9천만DWT, 파나막스는 2억 5천만 DWT, 수프라막스는 2억 3천만 DWT...
해운/조선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트렌드 분석/관점을 공유하고 많이 소통하고 싶습니다
넵, 저도 무냥무냥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조선업 관련해서도 분석 글 공유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노후 벌크선의 폐선 후 재건조가 늘어날 수는 있지만
벌크선의 대부분은 중국조선소에서 건조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조선 시황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노후 벌크선의 폐선 후 재건조가 늘어날 수는 있지만
벌크선의 대부분은 중국조선소에서 건조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조선 시황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