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시장의 메카로 떠오르는 서울
2023/01/13
By 앤드류 러세스(Andrew Russeth) 2023년 1월 5일
지난 해 처음 열린 프리즈 서울은 예술 도시 서울의 부상을 알리는 신호였다. 해외 갤러리의 한국 진출이 이어지고 경쟁이 과열되면서 작가들은 새로운 환경을 찾아 나서고 있다. 서울 – 활기 넘치는 이태원의 어느 오후, 미술 애호가들은 베를린과 파리에 갤러리를 둔 에스더 쉬퍼 갤러리가 최근 전시실을 개장한 4층 건물로 하나 둘 모여들었다. 이곳에서 열린 아티스트 티노 세갈의 인터랙티브 퍼포먼스를 관람하기 위해서였다. 퍼포먼스에는 한 소녀가 등장해 짤막한 독백을 읊고 관객에게 질문을 던졌다. 공연 도중, 소녀는 현장에 있던 한 작가에게 몸을 돌려 물었다. “너무 바쁘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아주 바쁘지는 않다고 생각하시나요?” 공정한 질문은 아니었다. 미술에 열광하는 서울에서 그 흐름을 따라잡으려는 이에게는 딱히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박물관이 문을 열고, 해외 갤러리가 둥지를 틀고, 기업은 현대 미술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 지난해 9월 서울에서 개최된 프리즈 아트 페어에는 120여 개의 갤러리가 참여했고 전세계 미술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웅장한 자태의 삼성 리움미술관에 ‘오징어 게임’ 출연 배우와 박물관 큐레이터들이 방문해 케이팝 걸그룹 케플러의 공연을 감상했다. 제조업체들이 모인 을지로의 한 클럽에서는 양혜규 작가가 주최한 파티가 다음날 새벽까지 이어졌다. 엄격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정책이 완화된 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구 2600만 명의 수도권(미국 코네티컷 주 크기의 수도권에는 한국 전체 인구의 절반이 밀집해 있다)은 생기를 되찾았다.
행사 도중 한 젊은 갤러리 직원은 런던, 뉴욕, 로스앤젤레스(LA)에서 아트 페어를 개최했던 프리즈가 아시아에서의 첫 아트 페어 개최지로 라이벌 일본 대신 한국을 택한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서울 출생의 아트 딜러인 제이슨 함(한국명 함윤철, 32세)은 인터뷰에서 “월드컵이나 올림픽이 한국에서 열린 것과 마찬가지”라며 열변을 토했다.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가 드리워진 가운데, 모두가 급격한 변화 속에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며 새로운 갤러리를 찾고 유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프리즈 아트 페어가 서울에서 개최된 것은 미술 업계에는 짜릿한 동시에 복잡한 마음을 불러 일으킨다.
“사람들이 이제야 서울을 미술의 중심지로 인식하는 건 좀 늦은 감이 있죠.” 서울의 갤러리 업계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엠마 손 리만 머핀 갤러리 서울 지점 수석디렉터가 말했다. 손 수석디렉터가 근무하는 사무실 옆에는 추상에 가까운 기교로 신체를 공포스럽게 변형시켜 표현하는 한국 중견작가 이근민의 그림이 걸려 있다. 뉴욕과 런던에도 지점을 둔 리만 머핀은 2017년 작은 규모의 전시실을 오픈했고 올해 우아한 2층 건물에 새롭게 터를 잡았다. 페이스 갤러리도 빠른 속도로 세를 키워 나가고 있고, 페로탕 갤러리는 최근 서울에 2호점을 열었다. 공공기관인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0년 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있는 갤러리의 수는 300개에 달한다.
홍콩에서 있었던 옥션에서 한국 단색화가들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는데 종잡을 수가 없네요. 작은 갤러리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그림에 대한 관심이 수요증대로 이어지지 않는 혹한기를 염려하기도 하시더라고요. 프리츠 서울의 열기가 한 차례로 그치는 것이 아닌 온기가 되어 널리 퍼져나가길 바래봅니다.
올해 국립현대미술관과 구겐하임이 공동기획한 한국 60-70년대 실험미술전이 개인적으로는 너무너무 기대됩니당. 실험미술 대표작가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점과 구겐하임에서도 동일한 전시가 열릴 예정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몇몇 스타 미술가의 명성에 기댄 것이 아닌 한국 미술계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 좋겠어요. 전보다 좋은 전시들이 많아진 것은 사실이니 시장 규모면에서는 작지만 미술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할 수 있는 한국 미술계가 되면 좋겠어요.
홍콩에서 있었던 옥션에서 한국 단색화가들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는데 종잡을 수가 없네요. 작은 갤러리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그림에 대한 관심이 수요증대로 이어지지 않는 혹한기를 염려하기도 하시더라고요. 프리츠 서울의 열기가 한 차례로 그치는 것이 아닌 온기가 되어 널리 퍼져나가길 바래봅니다.
올해 국립현대미술관과 구겐하임이 공동기획한 한국 60-70년대 실험미술전이 개인적으로는 너무너무 기대됩니당. 실험미술 대표작가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점과 구겐하임에서도 동일한 전시가 열릴 예정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몇몇 스타 미술가의 명성에 기댄 것이 아닌 한국 미술계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 좋겠어요. 전보다 좋은 전시들이 많아진 것은 사실이니 시장 규모면에서는 작지만 미술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할 수 있는 한국 미술계가 되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