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지정학 — 극동 공동체를 위한 제언

파라과이 박
파라과이 박 · 현재 한국 번역가 협회 회원입니다.
2024/06/13


목차
I.동북아의 정체성
II.동북아의 지리적 상상력
III.동북아 지역주의
IV.중국의 부상
V.북한
VI.쓰시마의 전략적 중요성
VII.합종연횡
VIII.21세기 동북아 지역주의
IX.베링해와 북극해
X.경계와 도킹 및 변환
에필로그



I.동북아의 정체성

동북아시아는 학계와 일반 대중 모두가 제한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지역적 상상이다. 결과적으로, 섬 영유권 주장, 해상권, 국경지대, 인구 이동, 자원 접근과 관련된 지속적인 긴장은 동북아시아 지역적 관점에서 고려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 지역의 매개변수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개념은 일본과 한반도에 국한되어 있으며, 보다 광범위한 고려 사항에는 러시아,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및 몽골이 포함된다. 우리는 이들 국가 외에도 아시아태평양과 북극의 해양 국경지대도 동북아시아 범위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동북아시아는 국가 간 시스템과 안보에 대한 공식적인 이해와 관련된 친숙한 지역인 동시에 세계 지역에 대한 설명에서 종종 간과되기 어려운 지역이다. 중국,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를 구성하는 것으로 종종 간주될 수 있는 지역 내의 많은 국가는 틀림없이 다른 지역과 더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 경제적 교환, 기후, 생태학을 포함하는 수많은 역사적, 현대적 과정을 사용하여 국가 규모, 이하 국가 ​​규모를 넘어서는 연결을 밝힐 수 있다. 이글을 빌어 우리는 동북아의 '지역적 상호성'이 미래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에도 통합과 글로벌 연결의 중요한 장소로서 이 지역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과 개념적 지역으로서 동북아시아의 공간적 범위와 일관성에 대한 복잡하고 종종 경쟁적인 비전을 고려하여 동북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는지, 그리고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밝힌다. 칼더에 따르면, 동북아는 일본, 중국 본토, 대만, 한국이 포함되지만, “경제 중심지”를 “상하이 서클”로 정의한다. 상하이 서클에는 하얼빈과 마카오, 시안과 도쿄가 포함되지만 울란바토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영어 번역 10년입니다.
77
팔로워 6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