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2라운드? 미중 대립의 격전지가 된 동남아시아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2/04
냉전 종식 후, 1990년대 동안 미국의 독주가 이어졌다. (국제정치학에서는 이것을 단극체제 unipolar system라고 한다.) 이후 2000년대 중국의 급속한 성장으로 소위 중국위협론이 등장했고, 그것은 2010년대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재균형'(pivot to Asia) 정책과 남중국해 분쟁으로 시작하여 트럼프 행정부의 미중 무역전쟁으로 나타나 미중 대립의 국제관계가 확실해졌다.

한반도가 미중 대립의 영향을 그대로 받고 있듯이, 지구의 다른 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서구의 정치, 경제적 규범을 수용한 부작용과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권위주의의 등장, 국가주도의 경제 모델 수용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양강 대립의 현상이 동남아시아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으며, 이것이 새로운 냉전이라는 주장이 등장했다. 

서구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도입의 역사가 짧거나 부침을 심하게 겪은 나라들 가운데에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특히 권위주의 체제를 수용하기 시작하기도 했다. 한반도 역시 미중대립의 한 격전지로 다른 지역들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동남아시아 혹은 세계의 여러 나라들과 같이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환멸로 대한민국도 포퓰리즘 혹은 권위주의 정권을 수용할 것인가? 

아래는 띠티난 퐁수디락(THITINAN PONGSUDHIRAK) 태국 쭐라롱꼰 대학 정치학과 교수의 기고글의 핵심을 번역한 것이다. 그가 설명한 미중대립의 격전지로서 동남아시아에 관한 분석은 여러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동남아시아만큼 냉전 기간 동안 많은 비용을 지불한 곳도 없을 것이다. 미국과 소련 사이의 초강대국 갈등으로 이 지역이 친공산, 반공산 진...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