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이 ‘집안일’을 해준다면, 나는 아이를 낳고 싶어질까?

스무살의 나는 일찌감치 결혼도 하지 않고 아이도 낳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특별한 선언이라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생각이었다. 20대 후반이 된 지금도 이유는 조금씩 달라졌지만 결론은 바뀌지 않았다. 그렇게 빠르게 내 삶의 계획에서 결혼과 육아는 지워졌다.
alookso 유두호
이런 내가 어떻게 하면 아이를 낳고 돌볼 수 있을까? 

한창 초저출생으로 세상이 시끄러웠을 때, 스스로에게 질문해본 적이 있다. 오르지 않는 임금, 높은 집 값, 긴 노동시간. 이대로라면 한국에서 아이를 낳기는 아무래도 어려워 보인다. 그 중에서도 가장 버겁게 느껴지는 것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에 대한 부담이다. 세상이 아무리 변해도 여전히 돌봄에 대한 부담은 여성에게 훨씬 강력하게 작용한다. 남편과의 관계에서 돌봄을 슬기롭게 분배하더라도 다른 가족이나 자녀의 학교, 나의 직장에서도 같은 시선으로 봐주기는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결국 나에게 돌봄이란 기대되는 일이라기보다는 불공평하고 부담스러운 일이 되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1
팔로워 9
팔로잉 2
n인분
n인분 인증된 계정
시민단체
돌봄청년 커뮤니티 n인분은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할 수 있는 돌봄안전망을 만들어 갑니다. 아픈 이를 돌보는 청년들의 자조모임에서 시작해, 돌봄청년들과 돌봄연구자들이 모여 가족, 성별, 세대를 넘어 모두를 위한 돌봄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합니다.
2
팔로워 60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