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이야기 3 소형모듈형원자로SMR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22/12/08
주목받는 SMR
지난 5월 말 한국형 스마트 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 사업이 예산타당성조사를 통과했습니다. 뭐 우리나라 뿐만은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 열풍이 불고 있다고, 새로운 원전 시대가 열린다고 말하는 이들이 꽤 많습니다. 빌 게이츠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지난 5월 말 한국형 스마트 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 사업이 예산타당성조사를 통과했습니다. 뭐 우리나라 뿐만은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 열풍이 불고 있다고, 새로운 원전 시대가 열린다고 말하는 이들이 꽤 많습니다. 빌 게이츠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요사이 주목받고 있는 소형모듈형원자력발전소(Small Module Reactor)의 기본 구조는 기존 원자력발전소와 대동소이합니다. 소형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듯이 최대 출력 300MW로 최신 국내 원전이 1000MW인 것에 비해 상당히 작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원전의 초기 모델인 고리1호기가 587MW였던 것과 비교하면 그리 작은 편은 아니죠. 현재 가장 주목받는 곳 중 하나인 뉴스케일파워는 300MW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77MW짜리 SRR을 계획하고 있는데 높이 23.2m, 직경 약 4.6m 무게는 약 700톤 정도입니다. 대략 9층 아파트 높이죠. 소형이라는 게 기존 원전 대비 그렇다는 이야기지 정말로 ‘소형’인 건 아닌 셈입니다. 다만 원전 대비 소형이긴 하니까 원전의 모든 기능을 배관 없이 하나의 격납고 안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SMR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기존 대형 원전 대비 안전하다는 점을 SMR 개발자들은 강조하고 있다. 크기가 작다보니 사고로 냉각기능이 중단되어도 열을 식히기 쉬워 노심 손상 같은 최악의 상황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죠. 여기에 자연적으로 냉각되는 피동형 냉각시스템을 갖춰 전력 공급이 끊겨도 냉각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모듈 구조로 단순화되어 있어 배관 손상 등에 의한 사고 가능성도 줄어든다고 합니다. 관련 전문가에 따르면 대형 원전에 비해 위험 확률이 100분의 1 정도로 낮습니다. 노심손상 확률이 10억분의 1정도라고 하는군요. 경제성도 장점이라고 주장합니다. 모듈 형태로 설계ㆍ제작...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를 확보한다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나 스토리지를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사용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고려하면 그게 현실적인지 굉장히 의문이 드는군요. 물론 잠수함이나 격오지 같은 데서는 약간 쓸모가 있을지도 모르겠지만요. 참고자료: https://alook.so/posts/J5tWnPD
현재로선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확보하는 수소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탄소포집은 생산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때문에라도 계속 연구 개발을 해야겠지만,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안으로 생각할 순 없다고 판단합니다.
현재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을 짓거나 부지를 확정한 곳이 핀란드, 스웨덴, 프랑스 세 곳밖에 되질 않습니다. 중국 또한 마찬가지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곳은 티벳, 신장 등인데 워낙 지층이 불안정한 곳이라 가능한 곳이라면 내몽고 정도인데, 중국도 핵폐기장 건설 부지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 하이난에 정식 착공하는 링룽1호도 smr로 알려져있는데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거든요. 이 경우에도 폐기물 처리에 대한 보완은 하지 않고 건설 중인 것일까요? ㅠ ㅠ
원자력은 단기간의 탄소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 방법으로 알고 있거든요. 핵폐기물 문제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환경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없다면 단기적인 성과를 내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실 가능한 대안은 무엇일까요?
예전에 전력거래소에는 잡히지 않는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성에 관한 뉴스를 보고 놀랐었거든요. https://youtu.be/NDOXyFVyC9E
이정도로 효과가 있는 태양광 발전도 불안정한 수급때문에 대안이 되기 어렵다면 안정적으로 공급가능한 ‘진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요?
신재생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 연구와 소형원자로 건설, 탄소포집 기술 범용화, 에너지 사용 최적화… 다른 건 생각이 안 나는데요. 이들 중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무엇일까요. 현실에 제일 가까운 기술은 무엇일까요.
현재로선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확보하는 수소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탄소포집은 생산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때문에라도 계속 연구 개발을 해야겠지만,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안으로 생각할 순 없다고 판단합니다.
현재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을 짓거나 부지를 확정한 곳이 핀란드, 스웨덴, 프랑스 세 곳밖에 되질 않습니다. 중국 또한 마찬가지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곳은 티벳, 신장 등인데 워낙 지층이 불안정한 곳이라 가능한 곳이라면 내몽고 정도인데, 중국도 핵폐기장 건설 부지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 하이난에 정식 착공하는 링룽1호도 smr로 알려져있는데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거든요. 이 경우에도 폐기물 처리에 대한 보완은 하지 않고 건설 중인 것일까요? ㅠ ㅠ
원자력은 단기간의 탄소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 방법으로 알고 있거든요. 핵폐기물 문제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환경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없다면 단기적인 성과를 내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실 가능한 대안은 무엇일까요?
예전에 전력거래소에는 잡히지 않는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성에 관한 뉴스를 보고 놀랐었거든요. https://youtu.be/NDOXyFVyC9E
이정도로 효과가 있는 태양광 발전도 불안정한 수급때문에 대안이 되기 어렵다면 안정적으로 공급가능한 ‘진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요?
신재생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 연구와 소형원자로 건설, 탄소포집 기술 범용화, 에너지 사용 최적화… 다른 건 생각이 안 나는데요. 이들 중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무엇일까요. 현실에 제일 가까운 기술은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