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언플러그(Unplug)

라이뷰

기후위기 언플러그(Unplug)

'365일 연중무휴' 무탄소에너지 "지열"

이승원
이승원 인증된 계정 · 글과 술을 같은 비율로 좋아하는 사람
2023/08/01

최근 '지열' 에너지로 CNBC 등 외신의 주목을 받은 스타트업이 있다. 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둔 <Fervo Energy>로 지난 7월 18일, '무탄소' 에너지원인 지열 기술의 파일럿 성능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일명 프로젝트 레드(RED)라는 이름으로 네바다 북부 지역에서 진행됐고 이미 2년 전인 2021년 이 회사와 계약을 맺은 구글은 올해 말부터 구글데이터 센터 등에 이 회사의 전력을 공급받을 계획이다.

<Fervo Energy>가 주목받는 이유는 대규모 상용화가 가능해졌기 때문. 최고 경영자이자 공동설립자인 Tim Latimer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10년 이상 앞선 성공"이라고 자평한다. 
지열이 무엇이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잠깐(?) 알아보자.


#. 지열, 사실은 1904년부터 시작됐다.

지열은 말 그대로 '땅의 열'이다. 온천수를 생각하면 쉽다. 이 지열로 인해 발생하는 온수와 증기가 관을 타고 올라와 터빈을 구동시키면 전기가 생산된다. 
1904년 7월 - 그러니까 119년 전- 이탈리아 라르데렐로에서 누군가가 지열 증기로 5개의 전구를 밝히면서 '세계 최초 지열에너지 발명'이라는 명예를 얻게 됐다고 한다.(이 라르데렐로 발전소는 여전히 운영 중이라고!)

지열발전에 관심을 쏟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태양광, 풍력처럼 자연이 공짜로 주는 무탄소 에너지원이라는 점과, 이들의 단점으로 꼽히는 간헐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다. 바람이 없으면 쉬고(풍력), 밤마다 쉬는(태양) 에너지원이 아니라 땅 속에서 365일 에너지를 발산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간단히 말하면,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열원이 공짜다. 

책 <플랜 드로다운>(글항아리사이언스, 2019)에 따르면 39개국에서 지열에너지만으로 전력 수요의 100%를 공급할 수 있지만(이론), 실제 사용량은 전 세계적으로 잠재된 지열에너지의 6-7% 수준에 그친다.
엘살바도르와 필리핀에서는 지열 발전이 국가 전력량의 25%가량을 차지하고, 화산 지형의 아이슬란드에서는 약 33%를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 바이든 플랜 』 저자, 기자, 시사평론가
110
팔로워 528
팔로잉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