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립
솔립 · 삶의 힘듦을 덜기 위해 글을 쌓다
2022/06/28
제가 어디서 봤는데요. 학벌, 학점, 자격증 등으로 평가할 수 밖에 없는게...
일단 객관적인 지표가 되니까 이런 평가 항목을 넣는 것도 있지만,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를 볼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더라고요.

수능이라는 게 돈이나 지역에 따라서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지만, 수험생이 노력을 해야하는거잖아요. 노력을 해서 얻은 게 좋은 대학이라는 성취 잖아요. 노력을 통한 성취경험을 기업이 보는 것 같더라고요.
 
A는 소위 좋은 대학, B는 소위 좋지 않은 대학인데 똑같은 기업에 지원했다고 치면, 학벌로도 이미 판가름이 나겠지만... A가 "시켜만 주시면 열심히 하겠습니다"라고 하는거랑 B가 "시켜만 주시면 열심히 하겠습니다"라는 말이 똑같이 들리지 않을 거에요. 물론 이런 말은 면접 때 안 해야하지만요.ㅋㅋ...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안녕하세요. 글 쓰는 걸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310
팔로워 204
팔로잉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