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일기
오늘일기 · 느낀것을 기록하는 이현정 작가입니다
2023/03/31
출처: 픽사베이

'고독' 이라는 단어는 기술이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 사회와 뗄래야 뗄 수 없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끊임없는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고독은 '고독사', '우울증', '자살' 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낳기도 하죠. 그러나 사람들과의 접촉이 없는 상태의 고독은 앞서 말한 부정적인 측면과, 적당히 개인의 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긍정적인 측면도 있는 '고독'이라는 단어는 어째서 항상 부정적인 이미지로 사회에 떠오르는 걸까요? 이 단어에 포함엔 외로움이라는 감정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있어서 정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외로움은 비단 21세기에만 존재한 것은 아닙니다. 조선시대에 살았던 왕도, 왕비도, 제 짝을 잃은 과부도, 힘이 되어줄 이 하나 없던 노비도 느꼈을 감정이자 고통이죠. 그러나 최근들어 외로움이 현대 사회의 새 질병이라며 유난스럽게 떠오른 이유는 이전보다 발달한 기술과 소셜미디어의 등장, 코로나로 인한 소통 단절로 사회적인 상호 작용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 입니다. 그렇다면 코로나가 점차 사그라들고 있는 지금, 사람들은 어떤 외로움을 느끼고 있을까요?
출처: 경기 연구원

1) 비대면이 낳은 외로움
약 3~4년간 지속되어온 코로나는 사람들의 사회적인 관계를 서서히 단절시켰습니다. 대면 수업이 사라진 학교, 비대면 근무가 활성화 된 회사, 늘어가는 비대면 서비스와 미뤄지는 문화생활. 오랜 기간 지속된 만큼 사람들이 느끼는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은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그동안 쌓인 고립감과 외로움은 해소되지...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